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요코타 메구미

관련이슈 설왕설래

입력 : 2013-10-11 03:42:28 수정 : 2013-10-11 06:18:0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요코타 메구미(1964∼?)는 일본인 납북 피해자의 상징이다. 중학생 때인 1977년 니가타현에서 납북됐다. 78년 군산에서 고교생 때 납북된 김영남과 86년 결혼해 이듬해 딸을 낳는다. 2002년 북·일 정상회담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메구미의 납치 사실을 인정·사과하며 94년 우울증을 앓다 자살했다고 말했다. 2004년 신랑 김영남이 메구미 유골을 가족에 전달했으나 유전자(DNA) 검사 결과 가짜로 드러났다. 가족은 아직도 메구미가 살아 있다고 굳게 믿고 있다.

일본 산케이신문이 9일 북한 통일전선부 출신 탈북자 장진성씨의 말을 인용해 “김정일이 2003년 초 ‘메구미가 생존한 경우와 사망한 경우에 대한 손익을 분석해 신속하게 보고하라’고 공작기관에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사실이라면 적어도 2003년 초까진 메구미가 살아 있었다는 뜻이다. 무엇이 진실일까.

메구미를 납치한 사람은 북한공작원 신광수다. 신광수는 85년 서울에 잠입했다가 체포돼 사형판결을 받았다. 김대중정부 출범 직전 특사로 석방돼 2000년 비전향장기수 북송 때 북으로 가 영웅 칭호를 받는다. 그의 북송으로 한동안 한·일 간에 냉기가 돌았다.

문제는 북한이 13세짜리 어린 소녀를 왜 납치했느냐다. 일본과 미국 정보기관들은 고인이 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부인 고영희(정성장 박사는 고용희라고 주장)를 주목한다. 일본에서 성장한 고영희가 북한 퍼스트레이디가 된 후 적적해하자 취미(배트민턴) 생활을 함께할 일본어 대화 상대로 11살 연하인 메구미를 데려갔다는 것. 당연히 메구미는 북한 로열패밀리의 속을 다 알고 있을 테니 일본으로 송환할 수 없었다는 분석이다.

당시 협상에 나선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보좌관 이지마 이사오와 허종만 조총련 수석부의장이 합의하에 메구미가 사망한 것으로 정리했다는 것. 두 사람은 유골을 고온에서 가열하면 DNA가 파괴된다는 점을 믿고 가짜 유골로 메구미 가족과 일본 국민을 속이려 한 셈이다. 하지만 일본 최고 권위의 과학경찰연구소가 유골감정에 실패한 것을 데이쿄대학 연구팀이 새로운 기법으로 가짜임을 밝혀냈다. 이젠 고이즈미 전 총리가 답해야 할 차례다.

조정진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