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이산가족 상봉 실무 접촉 전날인 오는 22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실무회담을 하자고 제안했으며, 정부는 입장이 정해지는 대로 추후에 공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강산 관광은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8년 11월18일 뱃길을 통해 처음 시작됐다.
2003년 2월에는 금강산 육로 관광이 시작돼 관광객이 늘어나는 계기가 됐다.
금강산 관광 사업은 개시 이후 10년 만에 193만여명의 남한 관광객을 모을 정도로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2008년 7월 11일 남측 관광객인 고(故) 박왕자 씨가 북한군 초병의 총에 맞아 사망한 이후 현재까지 5년 넘게 중단된 상태다.
이후 북한은 남측 자산에 대한 몰수·동결,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 제정, 현대아산의 독점권 취소, 재산권 법적 처분, 남측 관계자 추방 등 일방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에 더해 남측 자산을 활용해 중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영업을 개시하기도 했다.
북한은 2011년 재일동포 북송 수단으로 유명한 만경봉호를 활용해 나진과 금강산을 오가는 해상관광을 시범 도입했지만 관광객은 거의 없었고, 올 2월 싱가포르 대형 유람선 황성호를 도입해 국제관광을 시작했지만 성과는 신통찮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그동안 금강산 관광이 재개되려면 고 박왕자씨 사건에 대한 북측의 진상 규명과 재발방지, 신변안전을 위한 제도적 보장 등 '3대 선결조건' 해결을 요구해왔다.
반면, 북한은 금강산 관광 재개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9년 8월 방북한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을 직접 만나 관광객의 신변안전 보장 등에 대해 구두로 약속한 적도 있다.
북한이 관광객 신변안전 보장에 합의하더라도 북한이 몰수한 현대그룹의 50년 독점권과 금강산국제관광특구법 제정으로 효력을 상실한 남북간 합의를 부활하는 문제가 새로운 쟁점이 될 수도 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