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성재기씨 사망에… 여성부, 루머 곤욕

입력 : 2013-07-31 19:29:49 수정 : 2013-07-31 22:57: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조 장관, 여성전용거리 조성”
일부 네티즌 화풀이성 음해
여성가족부를 둘러싼 근거 없는 소문이 또다시 확산하고 있다.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의 죽음에 대한 비통함을 일부 네티즌이 여성부에 공격적으로 풀고 있는 것이다. 여성부는 남녀 관련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정책 왜곡과 루머에 시달리고 있다.

최근 여성부가 ‘여성전용거리’ 법안을 제출할 계획이라는 허위 글이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을 사칭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에 올라왔다. 칸막이를 설치한 여성전용거리에 남성이 들어오면 벌금 30만원을 물린다는 황당한 내용이었다.

글은 31일 오전 트위터를 중심으로 삽시간에 확산됐다. 논란이 커지자 여성부는 “해당 계정은 조윤선 장관의 것이 아니며 서비스 제공사와 함께 적절한 대처를 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여성부를 둘러싼 근거 없는 소문과 왜곡은 줄기차게 이어졌다. 대표적 사례가 ‘여성부 3대 루머’로 불리는 ‘죠리퐁과 쏘나타3 전조등, 테트리스 루머’다. 일부 네티즌은 “여성부가 죠리퐁·쏘나타3의 전조등이 각각 여성과 남성의 성기를 닮았다는 이유로 판매중지를 요청했다”는 주장을 펼쳤다. 테트리스 루머는 여성부가 이 게임을 전체연령가 서비스에서 제외했다는 소문이었다. 긴 막대기를 블록 사의의 구멍에 넣는 장면이 남녀의 성행위를 연상시킨다는 이유였다. 모두 근거 없는 허위 주장이었지만 ‘여성부 혐오론’을 부추기며 확산됐다.

지난해에도 여성부가 청소년의 노래방·PC방 출입을 금지했다는 루머로 곤욕을 치렀다. 일부 네티즌은 PC방이 청소년고용금지업소로 지정된 사실을 왜곡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증상을 양성평등을 향한 과도기적 진통으로 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여성부는 장애인·다문화·북한이탈주민 여성 등 소외계층을 중심으로 맞춤 복지를 펴고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거나 왜곡되는 경우가 많다. 헌정 사상 첫 여성 대통령이 탄생했지만 여성의 사회지표도 개선되지 않았다. 유엔개발계획(UNDP)에 따르면 한국의 성불평등지수는 2011년 11위(146개국)에서 2012년 27위(148개국)로 떨어졌다.

정치평론가 황태순씨는 “행정적으로 보면 특정 젠더(성)를 담당하는 부처의 존재는 운영 논리에 맞지 않다. 그러나 양성 불평등의 심화를 해결하기 위한 과도기적 형태로 현 시점에서 여성가족부가 존재할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고 설명했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