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탕평(蕩平)

관련이슈 설왕설래

입력 : 2012-12-23 21:47:29 수정 : 2012-12-23 21:47:29

인쇄 메일 url 공유 - +

대통령선거가 끝난 이맘때 우리 귀에 익숙한 단어 하나를 꼽는다면 탕평이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지역·계층 간 갈등의 골이 깊이 패었다는 의미다. 이젠 세대별 갈등도 심화된 형국이라니 탕평이 치유책의 하나로 여겨질 만도 하다. 탕평은 붕당(朋黨)정치가 극에 달했던 조선 중기 처음 도입된 것으로, 당파를 가리지 않고 인재를 널리 구해 기용한다는 원칙이다.

탕평의 개념을 첫 도입한 사람은 조선시대 19대 임금 숙종이었다. 당파싸움의 혼란 속에 1661년 즉위한 숙종은 “인사를 공정하게 관리해 국가기강을 세우겠다”며 탕평론을 제시했다. 숙종의 탕평은 보수적인 노론과 진보적인 소론 사이에서 한 당파를 일거에 내몰고 상대 파벌에게 정권을 위임하는 편당적인 조치였다. 경신환국(1680년) 때는 서인의 중용과 남인의 축출, 기사환국(1689년) 때는 남인의 재집권, 갑술환국(1694년) 때는 서인의 재기용 등 극심한 혼란이 이어졌다. 결국 숙종은 말년에 외척세력 등 소수 측근에만 의지하면서 ‘말로만 탕평’이라는 후세의 평가를 받았다.

1724년 즉위한 21대 임금 영조는 영의정에 노론을 앉히면 좌의정엔 소론을 임명하는 식으로 인재를 기용하려 애썼다. 탕평을 가장 잘 실천한 사람은 22대 임금 정조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은 비극이 붕당정치의 폐해와 무관치 않음을 간파했다. 1776년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능력 위주로 계파를 골고루 안배하는 인사를 앞세웠다. 그렇게 해야만 백성이 살고 나라도 산다고 확신했다. 과거를 문제삼지 않았고, 자신과 정치적 이념이 다르더라도 철저하게 능력에 따른 인재 중용에 나섰다.

18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탕평책으로 우리 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치유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모든 지역과 성별·세대의 사람들을 골고루 등용해 100%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 꿈이자 소망”이라고도 했다. 탕평은 박 당선인이 언급한 것처럼 지역·성별·세대 등 모든 것을 뛰어 넘어야만 한다. 탕평은 자리 나눠먹기나 특정지역 출신을 배려하는 지역 안배가 아니다. 대통령직인수위 인선부터 많은 이들이 공감하는 탕평책이 나오길 기대한다.

옥영대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