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시티 인허가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구속된 브로커 이동율(60) 씨의 주거지 및 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 수색 과정에서 이상득(77) 새누리당 의원의 이름 등이 적힌 수첩을 확보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최재경)는 지난달 브로커 이씨의 주거지 및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정·관계 인사들의 명단이 적혀 있는 수첩을 확보했다. 해당 수첩에는 이 의원 외에도 이씨가 만난 사람의 이름과 시간 등이 기록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씨가 2007~2008년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75),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52)을 만난 사실이 기록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 수첩이 향후 ‘뇌관’이 될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문제의 수첩을 입수했지만 특별히 의미 있는 사실은 찾지 못했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 의원은 프라임저축은행 사태, SLS 정관계 로비 사건 등과 관련해서도 수사 선상에 오른 상태다.
뉴스팀 news@segye.com
20120426021643
'파이시티' 브로커 수첩에 '이상득' 이름이…
//img.segye.com/content/image/2012/04/26/20120426021643_0.jpg
0
1
1
0
저작자 표시
N
20120426020101
'비리 혐의' 최시중 "대통령께 몸둘바를…"
20120426020821
20120426101314
20120426094833
서울 양재동 복합유통단지 인허가 비리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최재경 검사장)는 25일 최시중(75)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피내사자 신분으로 소환, 14시간 넘게 조사했다.최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10시40분께 서초동 대검찰청 청사에 나와 조사를 받고 26일 오전 1시 15분께 귀가했다.조사를 받고 나온 최 전 위원장은 개인적으로 받은 돈으로 대가성이 없다는 부분에 대해 어떻게 소명했느냐는 취재진의 물음에 "검찰 수사에 성실히 임했다"며 "검찰에서 조사한 내용을 취재해 봐라"고 말했다.받은 돈을 여론조사 비용에 지출했는지를 묻는 말에 "검찰에서 자세히 이야기했다. 지금 정신이 상당히 혼미하다"고 즉답을 피했다.권혁세 금융감독원장에게 전화를 걸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검찰에)다 얘기했다"며 말을 아꼈다.최 전 위원장은 청와대에 하고 싶은 말이 없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잠시 실소를 터뜨리고 "청와대 뿐 아니라 국민 모두에게 죄송하고 사죄하고 싶은 심정"이라면서 "청와대에 제가 아니라도 대통령께서 해야할 과제들이 많이 있는데 짐이 또 하나 얹혔다고 생각하면 몸둘바를 모르겠다"고 답했다.검찰에 따르면 최 전 위원장은 파이시티 측으로부터 인허가 청탁 명목으로 수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파이시티 전 대표 이정배씨는 지난 2007~2008년 복합유통단지 인허가 청탁을 해달라는 명목으로 건설업체 대표이자 최 전 위원장의 중학교 후배인 브로커 이동율(61ㆍ구속)씨에게 11억여원을 건넸고 이 가운데 5억~6억원 가량이 최 전 위원장에게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검찰은 최 전 위원장을 상대로 돈의 규모와 사용처, 인허가 과정 개입 등 대가성 여부를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앞서 최 전 위원장은 23일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돈을 받기는 했지만 인허가 청탁의 대가는 아니었고 지난 대선에서 독자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등의 비용으로 지출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최 전 위원장은 이 말의 파장이 커지자 "파이시티에서 받은 돈은 개인적으로 사용했다"며 하루만에 말을 바꿨다.검찰은 이날 최 전 위원장에 대한 조사를 상당 부분 진행했다고 판단해 이르면 26일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20120425022647
천신일 ‘30억 당비대납’ 재수사… 모든 의혹 다시 파헤친다
20120425180606
20120426022757
20120425185947
파이시티 인허가를 둘러싼 의혹이 ‘권력형 게이트’를 넘어서 2007년 대선자금 수사로 치닫는 양상이다.대검 중수부가 25일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소환과 동시에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의 선거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26일에는 세중나모의 자금관리 담당 간부 A(41)씨를 전격 소환키로 했다.세중나모는 이명박 대통령과 30년지기인 천신일 회장의 회사라는 점에서 천 회장의 이른바 ‘30억 특별당비 대납’ 의혹에 대한 재수사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박 전 차관은 이명박(MB) 대선캠프의 최대 사조직인 선진국민연대를 이끈 인물인 데다 최 전 위원장은 금품수수 사실을 부인하다가 “대선여론조사에 썼다” “개인용도였다”는 등 말을 바꿔 이 같은 의혹을 키우고 있다.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MB 30년지기’ 회사 자금간부 소환…30억 당비대납 재수사?검찰이 이날 소환을 통보한 A씨는 여행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로, 세중나모 측에서 10년 넘게 자금 업무만 담당했다. 특히 신규사업을 추진할 때 은행권 등에서 수십억∼수백억원을 끌어오는 역할을 해왔고, 해외 여행업체의 현지 여행경비도 회계처리해 왔다.2010년 2월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가 무혐의 처분한 특별당비 대납 의혹을 검찰이 다시 꺼내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당시 검찰은 ‘2007년 대선에서 천 회장이 이명박 대선 후보의 특별당비 30억원을 대납했다’는 의혹과 관련, “천 회장이 담보를 제공하면서 이 후보가 은행에서 대출받아 당비를 냈다”고 밝혔다.당시 천 회장은 이 후보가 특별당비로 쓸 30억원을 대출받는 데 정기예금을 담보로 제공했고, 이 후보는 서울 서초동 대지 등에 근저당권을 천 회장 앞으로 설정한 것으로 조사됐다.당시 MB캠프 관계자는 “최 전 위원장과 이 대통령의 형 이상득 의원, 천 회장 등 원로들과 핵심인사들이 선거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A씨의 개인비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A씨가 여행업계에서만 일한 점에서 천 회장과 연관된 자금 수사일 것이란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MB멘토, 왕차관, 민정수석, 금감원장…로비에 엮인 ‘권력실세’검찰은 이날 최 전 위원장을 상대로 파이시티 측에 어떤 도움을 줬는지, 로비명목으로 받은 자금을 MB캠프 등 2007년 대선 과정에 쓴 것이 아닌지를 집중 추궁했다. 최 전 위원장은 2010년 10월2일 경찰 특수수사과 수사를 받던 이정배 파이시티 전 대표와 조찬을 겸한 자리에서 권재진 당시 민정수석(현 법무부장관)에게 전화해 동석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권 수석이 일정을 이유로 어렵다고 하자 “잘 처리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한다. 그는 2011년 11월23일 위원장실로 찾아온 이 전 대표에게 “사업권이 넘어가지 않도록 막아 달라”는 청탁을 받고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에게도 전화해 “파이시티 측 민원을 잘 살펴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차관은 선진국민연대에서 활동하던 2007년 당시 강철원 서울시 정무조정실장에게 전화해 ‘파이시티 사업이 어찌 되는지 알아봐 달라’고 부탁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박 전 차관이 그 이전부터 여러 명목으로 돈을 받았을 것으로 의심한다. 이날 박 전 차관의 집 외에 대구 선거사무실을 압수수색한 것을 두고 파이시티 측 자금으로 지난 총선을 치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행방 묘연한 40억원은 어디에 썼나이 전 대표가 브로커 이동율(구속)씨를 통해 최 전 위원장과 박 전 차관에게 건넸다고 주장하는 돈은 2005년 12월부터 2008년 5월까지 모두 61억여원이다. 그러나 현재 드러난 규모는 21억5000여만원이 고작이다. 이 전 대표가 조성한 비자금이 경찰 수사 당시 340억원에 달한다는 얘기도 있었지만, 이 전 대표 주장이 맞다면 40억원은 대선 전에 넘어갔지만 사용처가 묘연한 셈이다. 최 전 위원장의 오락가락 행보도 대선자금 의혹을 키우고 있다. 최 전 위원장은 처음에는 금품수수 사실 자체를 부인하다가 검찰 소환이 임박하자 “대선캠프에서 일할 때 여론조사 비용으로 썼다”고 일부 사실을 시인했다. 그러다가 하루 뒤에는 “개인용도로 썼다”고 또다시 용처를 번복했다.정재영·장원주·이유진 기자
20120425022650
검찰, ‘왕차관’ 박영준 잡기 ‘융단폭격’
20120425180607
20120426000613
20120425190051
검찰이 MB정부에서 ‘왕차관’으로 불리며 승승장구하던 박영준(52) 전 지식경제부 차관에 대해 ‘전방위 수사’를 벌이고 있다. 파이시티 인허가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와 국무총리실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을 재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이 25일 박 전 차관의 서울 용산 자택과 대구 주거지 및 선거사무소를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말 그대로 ‘융단폭격’이다. 그동안 씨앤케이(CNK) 주가조작 사건 등 여러 비리 의혹에서 수사망을 벗어났던 박 전 차관의 몰락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불법사찰 당시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이던 그가 사찰과 증거인멸에 관여했다는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는 없지만, 압수수색의 필요성이 있어서 중수부와 따로 영장을 신청했다”고 말했다. 박 전 차관은 불법사찰 사건의 ‘몸통’으로 지목돼 왔다. 검찰 관계자는 “박 전 차관은 아직 참고인 신분이라 소환조사는 검토하지 않은 상태”라면서도 “수사 진행 과정에서 신분이 (피의자로) 바뀔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소환이 임박했다는 얘기다. 불법사찰 사건이 아니어도, 박 전 차관은 이번에는 검찰 ‘칼끝’을 피해가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파이시티 인허가 명목으로 아파트 매입비 10억여원을 파이시티 이정배(55) 전 대표로부터 건네받은 의혹을 사고 있다. 결국 그가 서초동으로 불려 나오는 건 시간문제이며, 대검과 중앙지검 중 어디로 먼저 소환될지만 남은 셈이다.장원주 기자 strum@segye.com
20120425022660
MB대선자금 ‘판도라 상자’ 여나
20120425180713
20120426022206
20120425185404
파이시티 인허가를 둘러싼 이명박 대통령 ‘최측근’들의 금품로비 의혹 수사가 대선자금 수사로 급선회하고 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최재경)는 25일 세중나모 자금담당 간부 A(41)씨에게 26일 출두하라고 통보했다. 세중나모는 이 대통령의 30년지기이자 지난 대선 과정에서 불거진 ‘30억 특별당비 대납’ 의혹의 당사자인 천신일(69) 회장의 회사다. 14시간만에 집으로… “대통령·국민께 죄송” 이명박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인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파인시티 측으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 소환돼 14시간 넘게 강도 높은 조사를 받은 뒤 26일 오전 검찰청사를 나서며 굳은 표정으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뉴시스검찰은 이날 파이시티 측 브로커 이동율(60·구속)씨로부터 청탁 명목으로 5억여원을 받은 혐의로 최시중(75) 전 방송통신위원장을 소환해 밤늦게까지 조사했다.대검 중수부는 또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을 재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과 함께 파이시티 측으로부터 10억여원을 받은 의혹을 사는 박영준(52) 전 지식경제부 차관의 서울 용산 자택과 대구 선거사무실 등 3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르면 26일 최 전 위원장에 대해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박 전 차관은 주말쯤 소환할 계획이다. 검찰에 따르면 A씨는 세중나모에서 10여년간 신규사업비 대출 등 자금업무만 담당해 왔다. 검찰이 파이시티 로비 의혹과 선뜻 연관짓기 어려운 세중나모 간부에게 소환을 통보한 것을 두고 천 회장의 ‘30억 특별당비 대납’ 의혹을 재수사하거나, 또 다른 대선자금 수사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된다.검찰은 이날 최 전 위원장을 상대로 파이시티 측 로비자금을 받은 이유와 시기, 2007년 이명박 대통령 후보 캠프 운영비나 여론조사 용도로 사용했는지를 캐물었다. 그는 중학교 후배인 브로커 이씨로부터 인허가 청탁 등의 명목으로 5억여원을 받고, 파이시티 전 대표 이정배(55)씨의 경찰 수사 무마와 파이시티 측 민원을 위해 당시 권재진 청와대 민정수석(현 법무장관)과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에게 부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최 전 위원장은 검찰에서 “이씨로부터 2억원과 부정기적으로 5000만원씩 여러 번 받았지만 MB 캠프의 정식 여론조사에 쓰지 않았고 개인적 활동에 썼다”며 대가성과 대선자금 용도를 모두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오전 1시15분쯤 조사를 마친 뒤 “청와대뿐 아니라 국민께 죄송하다. 대통령은 저 아니라도 할 일이 많으실텐데 제가 짐을 또 하나 얹어드려서 죄송스럽다”고 밝혔다. 박 전 차관도 2007년 강철원 서울시 정무조정실장에게 전화해 “파이시티 사업이 어찌되는지 알아봐 달라”고 청탁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파이시티 부지의 용도변경이 이명박 대통령 서울시장 퇴임 직전 이뤄졌고, 당시 박 전 차관이 서울시에 근무한 것 외에 곽승준(52) 미래기획위원장도 용도변경을 결정한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이었던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낙선한 박 전 차관의 선거사무실이 이날 압수 대상에 포함된 데 대해, 파이시티 측 자금을 총선 용도로 사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정재영·이유진 기자
20120426022647
檢, 최시중 전 위원장 사전 구속영장 청구
20120426180306
20120426183027
20120426181321
서울 양재동 복합유통단지 인허가 비리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최재경 검사장)는 26일 오후 최시중(75)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 대해 이 사업의 시행사인 파이시티 측으로부터 수억원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알선수재죄는 공무원의 직무에 관해 청탁을 해주는 대가로 돈을 받을 경우 적용되며 5년 이하 징역 또는 천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최 전 위원장은 25일 검찰조사에서 돈의 대가성에 대해 부인했으나 검찰은 대가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파이시티 전 대표 이정배씨는 지난 2007~2008년 복합유통단지 인허가 청탁을 해달라는 명목으로 건설업체 대표이자 최 전 위원장의 중학교 후배인 브로커 이동율(61ㆍ구속)씨에게 11억여원을 건넸고 이 가운데 5억원 가량이 최 전 위원장에게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검찰이 최 전 위원장에 대해 적용 가능 여부를 검토했던 정치자금법 위반죄는 혐의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앞서 최 전 위원장은 23일 한 방송 인터뷰에서 브로커 이씨에게서 받은 돈을 이명박 대통령이 후보로 나선 지난 대선 당시 독자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비용 등으로 썼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가 하루만에 개인용도로 사용했다고 번복했다.이에 대해 최 전 위원장은 25일 검찰 조사에서 "언론 인터뷰에서 받은 돈을 개인적으로 썼다는 취지로 이야기했는데 '조사'라는 용어를 잘못써서 오해를 샀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전 위원장은 25일 오전 10시 40분께 피내사자 신분으로 서초동 대검찰청 청사에 나와 14시간 넘게 조사를 받았다.
20120426022697
권력형 비리마다 향우회 로비… 도마오른 ‘인맥공화국’
20120426180822
20120426235841
20120426183906
정국을 뒤흔들고 있는 파이시티 인허가 금품로비 사건은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지역주의·연고주의 병폐를 그대로 드러냈다. 고향을 떠나온 동향끼리 외로움을 달래고 친분을 돈독히 하자는 취지에서 향우회가 만들어졌지만 번번이 이권을 챙기는 창구로 변질됐고 ‘끼리끼리’ 문화는 권력형 부패의 온상이 됐다는 지적이다.26일 검찰 등에 따르면, 파이시티 인허가 로비 사건에는 ‘경북 포항 구룡포’와 ‘영포회’가 금품수수자들의 안면을 터주는 역할을 했다. 돈을 주고받은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브로커 이동율(구속)씨가 재경 구룡포향우회에서 각각 고문과 수석부회장을 맡았다. 무산된 법사위 전체회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파이시티 인허가권 로비의혹에 대한 현안 질의를 위해 26일 국회에서 열릴 예정이던 법사위 전체회의가 새누리당 소속 의원과 법무부장관 등이 불참해 개의되지 않고 있다. 김범준 기자이를 눈여겨본 사람이 이정배 파이시티 전 대표다. 호남 출신의 이 전 대표는 2005년 파이시티 인허가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던 중 브로커 이씨가 접근해 오자 이를 통해 서울시에 포진한 향우회 인맥을 움직여 민원을 해결하려 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이명박 대통령 집권 5년 내내 등장한 ‘영포회’는 이때도 등장한다. 이 전 대표는 브로커 이씨를 통해 ‘영포회’에 속한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당시 서울시 정무국장)을 소개받아 서울시를 상대로 로비하려 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전 대표는 브로커 이씨와 최 전 위원장, 박 전 차관과 수시로 만났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10년 경찰청 특수수사과의 횡령사건 수사 당시에는 최 전 위원장을 직접 만나 구명청탁을 하기도 했고 박 전 차관을 통해 서울시에 압력을 넣기도 했다.이런 이유에서인지 초기부터 기존 입주업체의 반발과 소송, 인허가 과정 등에서 어려움을 겪던 파이시티 사업은 이때부터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연일 제기되고 있는 파이시티 관련 의혹은 이들이 자주 만난 이후부터 발생한 것으로 속속 확인되고 있다.향우회가 각종 로비의 핵심 통로로 이용된 건 비단 이번뿐만이 아니다. 김대중 정권 말기에 터진 각종 게이트 사건도 따지고 보면 동향과 동창의 연고주의가 저변에 똬리를 틀고 있다. 특히 대통령 아들의 구속으로 이어진 이용호 게이트의 경우 광주 출신의 이씨가 당시 권력가가 된 호남출신 실세들과 연결되면서 각종 이권사업에 개입했던 것이 단초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당시 신승남 검찰총장이 낙마하고 검찰 고위 간부들이 줄줄이 옷을 벗기도 했다.대통령 선거기간 동안 동창회와 향우회 모임을 금지하는 선거법이 마련된 것도 지역주의에 기대 한몫 챙기려는 심리가 일반인들 사이에서 널리 펴져 있다는 사실의 방증이라는 지적이다.박찬웅 연세대 교수(사회학)는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이동이 적다 보니 혈연·지연을 따지는 문화가 발달했다”면서 “향우회를 악용하려고 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더 엄격한 제재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박현준 기자 hjunpar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