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로 빈발… 탄약수명 단축
신소재 공법·지하화 추진 국방부가 군 탄약고를 모두 현대식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전국에 산재한 탄약고의 상당수가 지하로 들어가며, 시설도 탄약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꾸며진다. 이는 가뜩이나 모자란 탄약의 수명조차 짧아져 군 전력에 큰 구멍이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일보 11월3일자 참조〉
국방부 관계자는 9일 “미흡한 탄약고 저장·관리가 탄약 수명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돼 내년부터 군 탄약고의 현대화·지하화 작업을 검토 중”이라며 “새 탄약고는 온·습도 자동조절과 결로(結露) 방지 기능을 갖추고, 최소한의 공간에서 신속하게 적재·이동할 수 있는 지상·지하 탄약고 표준설계도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와 함께 99만∼330만㎡ 규모의 탄약보급소 20여곳을 통폐합해 현재 여의도의 100배 규모인 군 탄약고 면적을 20%가량 줄이기로 했다. 도심과 인접한 탄약고는 없애나갈 방침이다.
탄약고 주변은 폭발 위험 때문에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여 주택 신축과 개발이 제한돼 왔다. 탄약고 개선 사업이 본격화되면 지역에 따라 이 같은 제한도 풀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탄약고의 상당수는 탄종별 특성을 고려해 저장·관리되고 있지 않다. 정밀유도탄은 섭씨 10∼15도에 습도 50∼60% 상태에서 보관해야 하지만 대부분 온·습도 조절장치가 갖춰지지 않은 지상형 탄약고에 보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진장약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지상형 탄약고에 보관된 추진장약의 저장 수명은 18년에 그치고 있다. 지하형 탄약고의 경우 29년에 이른다.
이글루형 탄약고는 전체 1260개동 가운데 1103개동(88%)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해 탄약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기술품질원이 최근 연 탄약수명 관리 및 신뢰성 향상 세미나에서는 탄종별 특성을 고려한 저장시설 표준화 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병진 기자 worldp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