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벚나무, 화살나무, 산철쭉을 대상으로 단풍 단계(5단계)별 잎 색소의 함량 변화를 측정했더니 붉은빛을 띠는 색소인 안토시아닌 함량에 큰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산철쭉은 단풍 초기부터 안토시아닌이 빠르게 합성되며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 데 비해 왕벚나무는 느리게 늘었다. 화살나무는 단풍 초기부터 중기까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막바지 5단계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산림과학원 김선희 연구사는 “안토시아닌 증가 정도가 단풍 색의 변화를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결국 나무마다 안토시아닌 등 서로 다른 색소와 함량 등 때문에 특색 있는 단풍이 연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 단풍은 10월 하순부터 11월 상순의 날씨가 평년보다 높고 건조한 날이 많을 것으로 예측돼 기대만큼 곱지 않을 것으로 산림과학원은 전망했다.
대전= 임정재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