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득 의원 특사 방문 불구 문제해결 못해 최근 한국·리비아 간 외교 이상기류는 현지에 파견된 국가정보원 직원의 정보 수집 활동 때문인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이 문제로 이미 주한 리비아 무역대표부 업무가 중단되고 현지 교민이 구속되는가 하면 진출 기업 활동이 위축될 조짐을 보이는 등 30년을 이어온 양국 관계가 심각한 위기를 맞았다. 국정원 직원의 ‘스파이 활동’과 관련해 양국 당국이 리비아 현지에서 협상 중인데, 이날 현재까지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리비아 보안당국은 지난 6월18일 한국대사관 정보업무 담당 직원을 리비아 국가안보에 위협을 가했다는 혐의로 조사한 뒤 추방했다. 한국 외교관이 추방된 것은 1998년 7월 한·러시아 외교관 맞추방 사건 이후 처음이다. 리비아 당국은 앞서 지난 6월 초 한국 정부에 이 직원을 외교상 기피인물(PNG)로 통보했다. 한 외교 소식통은 “문제가 된 정보 담당 직원은 북한 관련 사안과 방산 협력 정보 등을 수집하고 있었던 것으로 안다”면서 “정부는 ‘정상적인 정보수집’이라며 리비아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6일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한나라당 의원이 대통령 특사로 리비아를 방문한 것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바그다디 마흐무디 총리를 세 차례나 만났으나,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는 만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우리 측 입장을 설명했고, 리비아 정부는 한국 정부의 상세한 설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에 정보기관 대표단을 리비아로 보내 정보당국 간 접촉을 통해 1차 해명을 시도했고, 현지 리비아 정보당국의 답변을 기다리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통은 이어 “지난주 리비아에 파견된 국정원 대표단이 리비아 측의 의문에 대해 설명했고, 이번주 귀국할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리비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추방된 국정원 직원은 카다피 국가원수의 가족과 카다피 원수의 국제원조기구 등에 대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비아 당국은 정보 담당 직원이 수집한 정보가 한국이 아닌 제3국으로 넘어갔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주리비아 대사관 직원의 정보 수집 활동으로 양국 간 이견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대표단이 현재 리비아 정부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면서 “정부는 이 사건이 양국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우승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