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당·청 관계 재정립 MB 일방적 국정운영 방식 변화가 관건
③ 친이·친박 갈등해소 서로 불신의 벽 높아… 순탄치 않을 듯 이번엔 여권의 위기 처방이 현실화할까.
여권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나오는 ‘단골 쇄신책’이 있다. ▲박근혜 구원투수론 ▲당·청 관계 재정립 ▲계파 갈등 해소가 그것이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파동과 2009년 4월 재보선 참패 이후 제기됐던 이들 쇄신안은 실행되지 못한 채 정치적 레토릭(수사)으로만 반복되고 있다.
![]() |
손은 잡았지만…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왼쪽)가 8일 18대 국회 후반기 원구성을 위해 열린 국회 본회의에 참석해 김무성 원내대표(오른쪽)와 악수하고 있다. 이범석 기자 |
당 지도자로서 위기에 처한 당을 구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논리다. 친이(친이명박) 진수희 의원은 8일 한 라디오에 출연, “박 전 대표가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개혁 성향의 김성식 의원도 이날 “친이든, 친박(친박근혜)이든 박 전 대표가 당의 리더로 전면에 나서 책임형 대표체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친박계는 ‘아직 때가 아니다’며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이다. 현기환 의원은 “박 전 대표가 당과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았다. 여권이 화합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먼저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박 전 대표를 국정의 동반자로 인정하느냐가 관건이지만 두 사람 간 뿌리깊은 불신을 감안할 때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에게 손을 내밀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는 회의적 전망인 셈이다.
당·청 관계의 최대 문제점으로 꼽혀 온 청와대의 일방주의도 이번에 빠지지 않고 거론된다. 이성헌 의원은 “지금까지의 당청 관계에 일방적인 부분이 많았고, 국회와 당이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이 청와대를 따라가는 수직적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 관계로 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이 변하지 않는 이상 당·청 관계의 재정립도 쉽지 않다는 게 정치권의 일반적인 관측이다.
계파 갈등 해소 요구에 대한 전망도 매한가지다. “한나라당에 반감을 가진 사람들은 계파 갈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 만큼 계파의식을 버리지 않으면 당의 미래는 없다”(이주영 의원), “변화의 기반은 계파를 없애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이종혁 의원)고 지적했다.
하지만 친이, 친박 진영이 서로 “상대방을 고사시키려고 한다”는 등 불신의 벽이 높은 데다 미래 권력을 놓고 다투는 상황이어서 갈등 해소가 쉽지 않아 보인다는 데 정치권 내 별 이견이 없다.
남상훈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