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 의결만으로 통합 가능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구역 자율통합과 관련, 통합시 1호 탄생이 눈앞에 다가왔다. 또 행정구역 통합이 주민투표를 거치지 않고 지방의회 의결만으로 결정된다.
경남 마산시의회와 진해시의회는 7일 ‘마산·창원·진해시 통합안’을 찬성 의결했다. 11일 찬반표결을 실시하는 창원시의회도 한나라당 소속 의원이 대부분이어서 찬성으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1998년 3여(여수시·여천시·여천군) 통합 이후 처음으로 3개 시 자율통합이 가시화됐다.
마산·창원·진해 3개 시가 통합되면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인구와 지역총생산(GRDP) 모두 1위로 수도권에 버금가는 경남권의 성장거점도시로 발돋움할 것으로 보인다.
진해시의회는 이날 열린 정례회에서 3개 시 통합안에 대한 의견 제시의 건을 상정해 제적의원 13명 전원이 출석한 가운데 기립투표 방식으로 찬성 8표, 반대 5표로 통합을 결정했다. 김성일 의원이 “통합찬반 최종 결정권은 주민투표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며 수정안을 냈지만 부결됐다.
마산시의회도 이날 정례회에서 21명의 시의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3개 시 통합안에 대해 찬성 18명, 반대 1명, 기권 2명으로 찬성의결했다. 이옥선 의원이 주민투표를 조건으로 한 수정된 행정구역 자율통합안을 제안했으나 부결했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11일 창원시의회도 통합에 찬성하면 주민투표를 하지 않고, ‘창원·마산·진해 통합시 설치법안’을 만들어 올해 안에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어 국회가 내년 2월까지 이를 통과시키면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통합시장이 선출되고, 7월부터 통합시가 정식 출범하게 된다.
창원·마산·진해시가 통합되면 인구 108만여명으로 수원(106만여명)을 제치고 전국 기초지자체 중 최대가 된다. GRDP도 21조7639억원으로 구미(17조1702억원)를 제치고 1위가 돼 광역자치단체인 광주(20조2990억원)와 대전(20조8024억원)보다 높게 된다.
한편 당초 시·군·구 의회와 주민투표 등으로 결정키로 했던 행정구역 통합은 해당 자치단체 의회의 의결만으로 결정된다.
이와 관련, 행안부 고위관계자는 “해당 지방의회에서 통합에 반대하면 실질적으로 주민투표를 하기 어렵지 않겠느냐”면서 “지방의회 의결만으로 통합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찬준, 창원=안원준 기자 am33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