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입시 자율화에 손을 들어준 의견(58.2%)은 고학력자(대학재학 이상 62.6%)와 화이트칼라(64.8%), 고소득자(월 350만원 이상 65.9%)일수록 많았다. 정부가 실효성 없는 규제를 틀어쥐면서 수능등급제로 인한 혼란 등 학부모와 학생들의 입시 부담만 가중시켰다고 본 것이다. ‘3불정책’(고교등급제·기여입학제·본고사 금지)으로 대표되는 평준화 정책이 학력 저하 등 부작용이 컸다는 인식도 한몫 한 듯하다. 대선 당시 이명박 당선인의 교육정책을 비판한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의 지지층에서도 찬성(51.1%)이 반대(35.8%)보다 많았다.
‘2010년부터 모든 고교 영어과목 영어수업’이나 ‘영어몰입교육’(영어 외 과목의 영어수업) 등을 골자로 한 영어수업 확대 방침에 대해선 ‘반대한다’(49.1%)는 의견이 ‘찬성한다’(44.9%)보다 약간 앞섰다. “고등학교만 나와도 영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토록 하겠다”는 이 당선인의 의지를 긍정 평가하는 쪽과 ‘영어 양극화’를 우려하는 쪽이 팽팽히 맞선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입시 자율과 영어 공교육 강화’로 사교육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 당선인의 ‘장담’에는 고개를 젓는 국민들이 다수였다. 새 정부 교육정책에 따라 ‘사교육비가 줄 것’이란 응답은 고작 19.8%에 그쳤고, ‘늘 것’이란 응답(51.2%)이 압도적이었다. ‘지금과 별 차이가 없을 것’이란 응답도 17.3%였다. 상당수 국민이 현재 공교육 여건상 영어교육을 강화할 경우 결국 학원이나 과외 등 사교육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강은 기자 ke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