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동해안 ‘에너지벨트’로 뜬다.. 각 지자체, 풍력·태양광 등 新에너지 개발 박차

입력 : 2008-01-28 09:20:00 수정 : 2008-01-28 09:20: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경북道, 울진∼경주 잇는 ‘클러스터’ 사업 확정
삼척·영월도 LNG생산기지·태양광 발전소 추진
새 정부 국책 강조… 출범 후 사업 탄력 받을 듯
동해안이 ‘에너지산업 벨트’로 떠오르고 있다.

원자력발전소 관련 국가 숙원사업들이 최근 잇따라 해결된 가운데 경남과 강원지역 지자체들이 앞다퉈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도 후보 시절 한국과 북한, 러시아를 연결하는 환동해권 에너지 황금 벨트 구축을 수차례 강조한 바 있어 새 정부 출범 이후 관련 산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가동연장 여부를 둘러싸고 2년 동안 논란을 빚었던 부산시 기장군 고리 원전 1호기는 지역사회의 합의로 지난 17일부터 전력생산에 돌입했다. 부산시민들이 1년간 가정에서 사용하는 양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돼 석유 약 900만t의 수입 대체효과가 기대된다.

경주시 양북면에서는 지난해 11월 숙원사업인 중저준위 방폐장(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 착공식이 열렸다. 한국수력원자력 본사(2010년)와 양성자가속기(2015년)도 인근에 들어선다.

경북도는 잇단 국책사업 유치를 계기로 경북 동해안을 청정에너지산업의 메카로 육성한다는 구상을 본격화하고 있다. 경북도는 작년 11월 경주∼포항∼영덕∼울진을 잇는 원전과 태양광, 풍력 등 ‘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 구축’ 1단계(2007∼17년) 사업을 확정했다. 아울러 강원·울산·대구를 엮는 초광역 단지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밝혀 새 정부의 계획과 보조를 맞췄다.

이런 가운데 지난 22일 대구 성서공단에서는 연산 30㎿ 규모의 태양전지 생산공장 준공식이 열렸다. 작년 12월 동양제철화학의 폴리실리콘 생산공장 준공에 이어 국내 태양광산업의 수준이 한 단계 높아지게 됐다는 평가다. 삼성에버랜드도 23일 김천시와 20㎿급 태양광발전소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강원권에서는 삼척과 영월이 각각 ‘에너지 거점도시’와 ‘태양에너지 도시’를 꿈꾸고 있다.

삼척시는 원덕읍에 들어서는 LNG제4인수기지(사업비 2조3000억원·우선협상대상지역)와 종합발전단지(〃5조9000억원·양해각서 체결)를 통해 동해안 에너지벨트의 방점을 찍겠다는 입장이다.

영월군도 지난 16일 ‘태양광발전 산업클러스터 조성’ 연구용역 보고회를 가졌다. 남면 166만㎡ 부지에 세계 최대규모인 50MW급 태양광 발전단지가 들어설 예정이어서 관련 부품소재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경남권에서는 부산과 창원시, 김해시 등이 기업들과 손잡고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한창이다. 르노삼성차는 지난 18일부터 생산 공정에 필요한 증기를 부산시 명지소각장으로부터 공급받기 시작했다. 연간 69억원의 에너지 수입 대체효과가 기대된다. 김해시는 명동정수장 2만2000㎡에 태양광 발전소를 짓기로 했다. 효성중공업은 창원에 연산 100대 규모의 풍력발전기 공장을 짓고 있으며, 향후 10년간 약 3000억원을 투자해 이 부문 ‘세계 톱10’에 진입한다는 목표다.

에너지관리공단 관계자는 “정부의 기후변화대책 마련 차원에서 각 지자체는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보급계획을 추진하게 돼 있고, 태양광 등 에너지산업의 발전 가능성도 상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면서 “새 정부에서 동해안 에너지벨트 구상이 구체화하면 관련 투자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현일 기자

con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