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존스홉킨스 의대 기초생물의과학연구소 폴 잉글룬드 교수팀의 이소희(29·여) 박사는 27일 수면병을 일으키는 기생충이 ‘지방산’을 만드는 새로운 생물화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 박사를 제1 저자로 한 이번 논문은 저명 과학저널인 ‘셀(Cell)’지 25일자에 표지와 함께 실렸다. 한국 국적의 유학생인 이 박사는 2년 전 고인이 된 이상선 전 한국교원대 생물학과 교수의 딸이다.
아프리카 수면병은 ‘체체파리’ 등의 흡혈파리가 사람과 동물의 피를 빨아들일 때 편모충인 ‘트리파노소마’가 몸속으로 들어와 감염되는 질환이다.
흡혈파리에 의해 옮겨진 이 병원체는 벌레나 숙주의 혈관에서 증식하는 방법으로 번식한다. 세계보건기구(WHO) 통계에 따르면 이 수면병은 앙골라, 콩고, 수단 등지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세계적으로 연간 50만명이 감염되고 5만명이 숨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아프리카를 여행할 때는 특히 흡혈파리를 주의해야 한다. 이 수면병에 걸렸을 경우 약물을 이용해 기생충을 조기에 제거하면 큰 문제가 없지만, 치료시기를 놓쳐 만성화되면 줄곧 잠에 빠져 있다가 영원히 깨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치료법이 없다.
우리나라도 이 질환을 법정전염병 제4군으로 분류해 놓고 있다. 이번 논문에 따르면 흡혈파리가 옮기는 기생충 ‘트리파노소마’는 세포와 세포기관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산을 만드는 과정에서 ‘엘론가스’라는 효소를 사용하는 것으로 새롭게 밝혀졌다. 기생충이 스스로 지방산을 만들어 낸다는 것도 최근에 밝혀진 사실이다.
이소희 박사는 “의료환경이 열악한 아프리카에서 체체파리에 의한 트리파노소마 감염은 치명적”이라며 “엘론가스와 같은 지방산을 만드는 트리파노소마와 박테리아 효소는 수면병과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고안된 약물의 좋은 표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구팀은 엘론가스를 타깃으로 한 약을 개발할 경우 아프리카 수면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신약도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석규 기자, 연합뉴스
skpar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