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절대 등보이지 마라”…반려동물 행동 교정 전문가가 전한 맹견 대처법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7-19 13:19:38 수정 : 2022-07-19 16:51:19
강소영 온라인 뉴스 기자 writerksy@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게티이미지뱅크

 

반려동물 행동교정 전문가 이웅종 연암대학교 교수가 맹견과 마주쳤을 때의 대처법을 언급해 눈길을 끈다.

 

이 교수는 지난 18일 YTN라디오 ‘슬기로운 라디오생활’에 출연해 울산 한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8세 어린이 개 물림 사고를 언급하며 “맹견이 달려들면 등을 절대 보이지 말고 목을 반드시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맹견을 보고 소리를 지르며 등을 보인 채 도망가면 개는 이를 약자로 받아들인다”며 “정면을 향해 앞으로 조금씩 나가면 개들도 위협을 느껴서 도망가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이어 “무섭다고 소리치며 등을 보이고 뛰어가거나 넘어졌을 때 개들은 흥분한다”며 개 물림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상황으로 ▲(사람이) 뛰어갈 때 ▲무섭다고 소리 지를 때 ▲넘어졌을 때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뛰지 말고 제자리에서 먼 산을 쳐다보는 등 개와 시선을 마주치지 않는 것이 방법”이라며 “가방이나 모자, 신발을 벗어서 손에 쥐고 있다가 개가 다가오면 던지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개가 날아오는 물건을 쫓아 확인하려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혹시 주변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 마주쳤을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깍지를 껴서 목을 보호하고 그대로 쓰러지는 게 최선”이라며 “이때 소리를 질러서는 안 된다. 가만히 있으면 본능적으로 물고 있다가 놓는 습성이 있다. 차라리 손이나 발을 인위적으로 내주는 방법도 있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 11일 울산시 울주군의 한 아파트 일대에서 단지를 돌아다니던 개 한 마리가 8살 A군에 달려들어 목 부위를 물어 출혈이 발생하는 큰 부상을 입은 사례가 있다. 

 

이 교수는 개가 집단으로 달려들 경우의 대처법도 전했다. 그는 “여러 마리가 달려들었다면 혼자서 버티기 굉장히 어렵다. 이때 주변 나무나 벤치 등 잡을 수 있는 것에 매달려서 쓰러지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견주의 책임을 강조하며 “내 아이가 크든 작든 관계없이 사람이나 다른 개를 물었던 경험, 짖거나 흥분한 경험 등이 있다면 맹견이 아니더라도 다른 보호자나 반려견의 안전을 위해 입마개를 착용하고 학습시켜주는 것이 원칙”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소영 온라인 뉴스 기자 writerks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뉴스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