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돌파구 지렛대로 정치인 기용 ↑ 집권 3년차 박근혜정부 내각의 가장 큰 특징은 정치인 출신의 득세다. 23일 국무총리와 각 부처 장관 등 18명의 국무위원 구성(내정자 포함)을 분석한 결과 초대 내각에서 2명에 불과했던 현역 국회의원이 ‘3기 내각’에서는 6명으로 늘어났다. 반면 관료(8명→6명), 교수·연구원(5명→4명) 출신은 소폭 줄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2·17 개각’에서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인 유기준, 유일호 의원을 각각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장관으로 내정했다. 앞서 임명된 의원 겸직 각료 4명(이완구 국무총리, 최경환 경제부총리, 황우여 사회부총리,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을 합치면 전체 국무위원의 3분의 1이 현역 의원이다. 특히 여당 지도부를 지낸 이 총리와 최·황 부총리는 내각을 주도하는 ‘친박 트로이카’라고 불린다. 친박(친박근혜)계 핵심 의원들의 연이은 입각은 당·정 간 소통과 내각의 국정 장악력 강화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상당수는 20대 총선을 앞두고 내년 초 장관직을 내려놓을 예정인 만큼 단기간에 성과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 총리는 경제 분야를 제외한 전 부처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하며 공무원연금·공기업·규제 등 3대 개혁을 진두지휘할 공산이 크다. 박근혜정부 ‘실세 장관’으로 꼽힌 최 부총리도 경제활성화를 위한 국정드라이브에 한층 박차를 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치인을 중용한 내각의 변화는 박 대통령의 국정철학과도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다. 정책입안을 통해 국정 밑그림을 그릴 초대 내각은 관료, 교수 출신의 비중이 컸다. 그러나 임기 중반에 접어들면서 일하는 정부, 힘 있는 장관의 필요성을 감안해 추진력을 갖춘 내각 구성에 무게를 뒀다는 것이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국무회의에 배석해보면 정치인 출신 각료만 자연스럽게 의견을 개진하고 다른 장관들은 부처에서 만들어준 원고를 읽는 경우가 많다”며 “정치인 출신이 대통령 옆에서 보좌하는 데 유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