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가 현재의 강력한 민방위 체계를 갖춘 역사적 배경에 대해 숄 청장은 “유럽 역사상 두 번에 걸친 세계대전이 있었다”며 “스위스는 독일과 이탈리아,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 강대국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였다”고 설명했다. 숄 청장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 체제가 전개되면서 전쟁 발발 위협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컸다”며 “그러나 베를린 장벽 붕괴로 인해 스위스 민방위 시스템은 변화 계기를 맞았다”고 말했다.
전쟁 위협은 감소했지만 지진과 산사태, 폭설 등 자연재해 위협은 증가하고 있다는 게 스위스 민방위청의 진단이다. 특히 국토의 4분의 3이 산과 호수로 이루어진 스위스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에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태다.
그는 이어 “이런 일이 벌어지기 전에 미리 대비를 해두는 것이 정부가 할 일”이라며 “철저하고 신속한 대비를 위해 위급 상황 발생시 국민에게 경보를 울리는 ‘경보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소개했다.
숄 청장은 “한때 비용 문제로 대피소 유지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기도 했으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관련 논의는 정리가 됐다”며 “민방위 시스템은 스위스 국가 안보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 토대”라고 강조했다.
베른=글·사진 김민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