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 이사장의 예에서 보듯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증식 수단은 역시 부동산과 주식이었다. 특히 서울 강남지역에 아파트를 보유한 공직자들은 지난해 부동산 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재산이 수억원씩 늘었으며, 주식시장 호황도 공직자들이 재산을 늘리는 데 한몫했다.
중앙부처 1급 이상과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원, 교육감 등 1831명의 지난해 말 기준 재산은 1년 전 혹은 지난해 6·2 지방선거 이후 신고 때에 비해 평균 4000만원이 늘었다. 이 중 부동산 등의 평가액 상승 분이 1700만원이었으며, 주식과 예금 등의 증가분이 2300만원으로 부동산과 주식 등이 재산 증식를 주도했다. 이는 2010년 1월 1일 공시가격 기준으로 토지는 1년 만에 3.0%, 공동주택(아파트)은 4.9%, 단독주택은 1.9% 상승했고, 2010년 중 주가지수가 평균 23.5% 상승한 데 힘입은 것이다.
이번 재산공개에서 재산 증가액이 42억6000만원으로 1위에 오른 전혜경 국립식량과학원 원장은 배우자의 주식·채권 운용 수익금과 저축 등으로 예금이 66억원 늘어 재산 증가 순위에서도 1위에 올랐다.
![]() |
◇지난해 국회의원 재산 변동 내역을 공개한 국회 공보를 25일 국회 사무처 직원이 살펴보고 있다. 이범석 기자 |
전체 재산 공개 대상자의 재산 증가액 비율을 보면 1억원 이상 5억 원 미만이 37.9%로 가장 많고, 5000만원∼1억 원이 21.4%, 1000만원∼5000만원이 28.5%이며 10억원 이상 늘어난 사람도 0.8%에 달한다.
반면 자녀학비 지출 증가와 물가 상승에 의한 생활비 증가 등으로 재산이 감소한 공직자도 있다. 재산 감소액 비율을 보면 1000만원 이 ∼5000만원 미만이 35.8%로 가장 많고, 5000만원∼1억 원이 20.8%, 1억원 미만 5억원이 25.0%이다.
이번 재산 공개 대상자의 평균 재산 신고액은 11억8000만원이며, 금액대별로는 1억원∼5억원이 27.9%로 가장 많지만 50억원 이상도 2.7%에 달했다.
지원선 선임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