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레인, 의회 출입문 막고 개혁 촉구 중동·북아프리카를 휩쓸고 있는 반정부 시위사태가 산유 부국이 즐비한 아라비아 반도까지 확산되고 있다.
오만에서는 시위대 700여 명이 28일(현지시간) 오만 제2의 항만인 소하르항의 접근 도로를 트럭들로 막고 시위를 벌이다 경찰과 충돌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시위대는 “우리는 모든 국민에게 석유의 부가 공평하게 분배되길 원한다”며 “외국인 노동자 규모가 줄어 더 많은 일자리가 오만인들에게 돌아가길 원한다”고 주장했다. 항만 관계자는 “소하르항에서 하루 평균 16만 배럴의 석유가 운송되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석유 운송에 큰 차질이 빚어지진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에는 소하르 내 대형 슈퍼마켓에서 약탈행위 뒤 화재가 발생하는 등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앞서 27일에는 소하르에서 경찰이 시위대 해산 작전 중 고무총탄을 쏴 모두 6명이 숨졌다고 현지 병원 의료진이 전했다. 오만 정부는 사망자가 1명이라고 밝혔다. 오만에서는 술탄 카부스 빈 사이드 국왕이 41년째 권력을 장악하고 있다.
카부스 국왕은 지난 26일 개각을 단행하는 한편 일자리 5만개 창출과 구직자에게 매달 390달러(약 45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유화책을 내놓았지만 시위는 중단되지 않고 있다.
바레인에서는 500여 명의 시위대가 인간 띠로 의회 출입문을 막고 의원들의 입장을 막아 회의 속개가 지연되기도 했다.
시아파가 주를 이룬 시위대는 현 정부가 공직자 채용 때 시아파 자국민 대신 수니파 외국인들을 중용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의회에 촉구했다.
예멘에선 27일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이 속한 부족 지도자 2명이 시위에 합류한 가운데 수도 사나를 비롯, 타이즈, 아덴 등 각지에서 반정부 사태 이후 최대 규모인 수십만명이 시위를 벌였다. 32년째 장기집권 중인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은 시위 사태 진정을 위해 야권과 연립정부를 구성하는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야권은 연정에 참여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는 시위가 엄격히 제한돼 있어 겉으로 드러나는 움직임은 적지만 오는 11일 대규모 시위를 벌이자는 주장이 온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사우디 시민운동가들은 페이스북을 통해 오는 11일 시위를 벌이자는 글을 올렸고 이미 1만7000명 이상이 시위를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형준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