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형 하천을 100억짜리 일회성 꽃밭으로 만들어”
“매년 여름이면 범람…반복해 꽃 심어 관리비 낭비”
안양시 “여가 휴식 위한 정원 조성…일부 구간 보전”
약 1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경기 안양시의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 계획안’에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꽃밭이 아니라 살아 숨 쉬는 자연으로 유지되길 바란다”며 “생태하천 복원 성과를 무시한 보여주기식 사업”이라고 비판했다.
14일 안양군포의왕환경운동연합(환경운동연합)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안양시가 주최한 지방정원 조성 사업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시민 50여명은 “(시의 사업이) 자연형 하천을 100억원짜리 일회성 꽃밭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시민들은 “이미 수달과 원앙이 돌아오는 자연형 하천을 꽃밭으로 바꾸는 것이 정원이냐”고 반문하면서 “매년 여름이면 범람하는 하천에 계절 꽃을 반복해 심어 관리비만 낭비하는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가 사업비 100억중 40억원을 열병합발전소 주변 지역에 지원되는 특별지원금에서 충당하겠다고 했는데 해당 지원금은 발전소로 피해를 보는 주민들의 복지·환경개선 목적으로 쓰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환경운동연합은 안양시에 △지방정원 조성 사업 전면 재검토 △생태하천 보전 중심의 계획 수립 △발전소 특별지원금의 주민 복지 사용 △연간 유지관리 비용 산출 및 범람 전후 시설 관리안 공개 △도심 유휴지 중심의 녹지 확장정책 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이미 생태적 복원을 이룬 안양천을 인위적으로 꾸미기보다 본래의 자연을 지키며 시민이 함께 가꾸는 방향으로 계획이 조정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시는 안양천 지방공원 조성 사업의 기본 구상에 따라 안양천 안양시 구간(12.2㎞)의 주요 거점에 교감정원, 향기정원, 물의 정원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안양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여가 휴식을 위해 정원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보전이 필요한 일부 구간은 개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또 “추후 환경 관련 단체 등과 교감하며 이들의 의견을 조성 사업 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광명·안양·군포·의왕의 4개 시를 관통하는 안양천 일대가 지방정원 조성 예정지로 2023년 5월 승인됨에 따라 해당 지자체마다 지역 특성과 사정에 맞게 지방정원을 조성하는 내용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