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급랭했다. 정부가 고강도 대출 규제를 발표한 지 2주 만에 ‘최고가 거래’가 74%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6월 27일 대책 발표 전 2주간(6월 13일~26일)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총 4693건, 이 가운데 1141건(24.3%)이 최고가로 거래됐다. 그러나 대책 시행 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 거래량은 1312건, 최고가 거래는 300건(22.9%)으로 급감했다.
이번 대책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지역은 대책 전 ‘불장’ 분위기를 주도했던 마포·성동·강동구였다. 성동구는 최고가 거래가 139건에서 22건으로 84% 감소했고, 마포구는 137건에서 18건으로 87% 줄었다. 강동구 역시 115건에서 23건으로 80% 가까이 떨어졌다. 이외에도 강남구(112건 → 41건), 서초구(37건 → 9건), 송파구(64건 → 27건) 등 강남3구도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마포래미안푸르지오3단지, 공덕자이, 옥수파크힐스, 래미안고덕 등 주요 단지들은 대책 후 최고가 거래가 끊겼다. 이는 시장의 공격적인 매수세가 급격히 관망세로 돌아섰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그 외 지역에서도 최고가 거래는 감소했다.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 최고가 거래량이 줄었다. 전방위적인 대출규제로 투자심리뿐 아니라 실수요자 또한 관망세로 돌아서며 이들 지역 또한 최고가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여진다.
직방 빅데이터랩실 김은선 랩장은 “이번 정책은 별도의 사전 예고 없이 발표 즉시 시행된 만큼, 정책의 예측 불가능성 자체가 향후 시장 변동성을 키우는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라며 “따라서 수요자 입장에서는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금 계획을 점검하고, 불확실성에 대비한 전략 마련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현재의 거래 절벽 상황에 대해, 일시적인 숨 고르기 국면일 수 있다”며 “입지나 개발 기대감이 있는 일부 지역은 규제 여파 이후 다시 반등할 가능성도 존재한다”라고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