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2호 혁신안으로 단일지도체제 전환을 제시한 가운데, 혁신위원장을 사퇴한 안철수 의원이 “당내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안 의원은 1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을 통해 “당대표에게 최고위원 권한까지 모두 모아준다면, 우리가 수차례 지적했던 이재명 일당체제를 어떻게 다시 비판할 수 있겠느냐”며 이같이 밝혔다.

안 의원은 “잦은 비상대책위원회로 인해 당대표 리더십이 흔들린다며 단일지도체제가 필요하다고 한다”며 “이를 해결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대안으로 속칭 ‘이준석 조항’ 폐기를 제안했다.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부총질이라며 이준석 전 대표를 쫓아낼 때 개정했던 ‘최고위원 4명 사퇴 시 비대위 구성’ 당헌을 삭제하면. 비대위의 난립도 막고 당대표 또한 최고위원의 단체행동에 종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안 의원은 “이는 당을 용산의 하인으로 만들기 위해 당헌에 억지로 꾸겨 넣은 윤 전 대통령의 잔재를 소각하는 것”이라며 “혁신위의 1차 혁신안에서 밝힌 윤(전 대통령)과의 절연과 맥을 잇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혁신위는 1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윤희숙 위원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당 의사결정 구조를 '당대표 단일지도체제'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한 2호 안건으로 의결했다. 혁신위는 현행 최고위원회의를 폐지하는 대신 중앙집행기구 수장 9명으로 구성된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해, 당무 결정 기능을 대체한다는 구상도 밝혔다.
중앙당무회의는 당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 당대표가 지명하는 원외 당협위원장 2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되며 주 2회 회의가 진행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