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입 벌리고 자동 사냥 하더라”...러브버그 ‘먹방’하는 천적 나타났다

입력 : 2025-07-09 08:23:30 수정 : 2025-07-09 13:22:15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여름철 불청객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도심에 대량 출몰하면서 시민 불편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참새와 까치 등이 러브버그를 잡아먹고 있다는 목격담이 이어지고 있다. 

 

'러브버그'로 알려진 붉은등우단털파리가 수도권 도심 곳곳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 뉴스1

최근 소셜미디어(SNS)에는 “참새가 매장 유리에 있는 러브버그들 다 잡아먹고 있다”, “러브버그 모닝 뷔페 식사 중인 까치”, “오늘 아침 국회에서 참새가 러브버그를 잡아먹는 광경을 목격했다”, “한강 주변 까치들은 입을 벌리고 자동 사냥하고 있더라” 등 시민들의 목격담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러브버그는 산성 체액을 지녀 일반적인 포식자인 새나 개구리 등이 기피하는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참새, 까치, 비둘기, 거미, 사마귀 등이 러브버그를 먹는 장면이 관찰되며 천적이 형성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박선재 국립생물자연관 연구원은 지난 1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까치나 참새 같은 새들과 거미류, 사마귀와 같은 생물들이 러브버그를 잡아먹는 광경을 종종 목격한다”고 밝혔다.

 

박 연구관은 “원래 해외에서 새로운 생물이 유입되면 기존 생물들이 이들을 먹이로 인식하고 잡아먹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며 “처음엔 천적이 없어서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러브버그가 언제 사라지냐’는 질문에는 “몇 년간의 발생 현황을 분석해 보니 7월 중순경이면 대부분의 개체가 사라질 걸로 판단한다”고 답했다. 이어 “러브버그 출몰은 보통 6월 중순쯤에 시작돼 일주일 가량 사는데 장마가 사그라들 때쯤 개체 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정부도 최근 모니터링을 통해 일부 조류와 곤충들이 러브버그를 포식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만 천적에만 의존하기에는 러브버그의 번식력이 매우 강해 한계가 있다. 

 

이에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성충은 참새·까치 등의 천적이 맡고, 유충은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활용해 제어하는 이중 방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