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한낮 기온이 34도가 넘는 폭염 속에서 도심 가로수에 강도 높은 가지치기 작업을 벌여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8일 성명을 통해 “도심 기온을 낮추고 그늘을 제공하던 가로수에 대한 과도한 강전지를 즉각 중단하라”며 전주시에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단체에 따르면 전주시는 최근 태풍 대비 등 재난 예방을 이유로 전주천변 여울로에 심어진 회화나무 70그루를 대상으로 강전지 작업을 진행했다. 강전지는 가지를 줄기에 바짝 붙여 잘라내는 방식으로, 시민들 사이에서는 ‘닭발처럼 보기 흉하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환경단체는 "해당 회화나무는 수형과 생육이 안정적이어서 폭염 속 시민들에게 그늘과 생태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등 생태 기능이 뛰어남에도 무분별하게 전지가 이뤄졌다"며 "때 이른 불볕더위와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 이러한 방식의 가지치기가 옳은 일인지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특히 "회화나무가 꽃을 피우기 직전 강전지를 시행해 그늘과 도시 경관, 생태 기능이 크게 훼손됐다"며 "사전 수목 진단도 없이 일률적으로 가지를 잘라낸 것은 행정 편의적 조치”라며 “무리한 전정은 오히려 나무의 균형을 무너뜨려 기후 대응력마저 약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생태적 전정 가이드라인 수립과 가로수 관리계획 사전 공개, 시민 의견 수렴 절차 도입, 가로숲 시민 모니터링단 운영 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여울로 일대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구간으로, 가지치기가 장기간 이뤄지지 않아 쓰러질 위험이 컸다”며 “실제로 지난달 집중호우 때 회화나무 두 그루가 넘어졌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 안전을 고려해 강전지 방식으로 관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재난 예방이 필요하다면 개별 수목에 대한 정밀 진단을 거쳐 선택적으로 가지치기를 했어야 했다”며 “한쪽에서는 도시숲 조성을 외치면서 다른 쪽에서는 무분별한 전지로 살풍경을 만든다는 건 모순”이라고 반박했다.
앞서 전주시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전주천 일대 수십년생 버드나무와 한옥마을 오목대숲, 덕진공원 내 고목 등 도심 내 굵직한 수목들을 잇달아 베어내 환경단체와 갈등을 빚어 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