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北, 정찰위성 사진 공개 안하는 이유

관련이슈 설왕설래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3-11-28 23:36:01 수정 : 2023-11-28 23:36:00
박병진 논설위원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과거 북한 매체들은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현장 시찰 사진과 영상을 한참 시간이 흐른 뒤에 공개하는 일이 많았다. 촬영 날짜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도 다반사였다. 최고사령관 동지의 신변안전 문제를 들어 일정 자체를 비밀에 부쳤기 때문이다. 김 전 위원장 사진 가운데는 조작됐거나 변형된 사례도 상당수였다. 언론을 이용한 선전 선동이라고는 하나 사전검열에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는 의미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등장 이후 그의 일거수일투족은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그다음 날 바로 보도되기 시작했다. 당일 저녁에 보도된 적도 있다. 김정일 시대와 비교하면 비약적인 발전이다. 미사일 발사 장면을 바라보며 웃는 김 위원장의 모습은 어느새 그의 대표 사진이 됐다. 김 위원장의 웃고 있는 모습 뒤로 북한 잠수함이 배경으로 등장했던 2015년 5월 9일자 북한 노동신문 보도 이후 봇물을 이뤘다고 할 수 있다.

나치 프로파간다를 연상시킬 정도의 이런 선전술이 체면을 구긴 적도 있다. 2017년 8월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로 추정되는 ‘북극성-3’ 공개에 앞서 노동신문 등을 통해 지하벙커 사진을 공개했을 때다. 김 위원장이 김락겸 전략군사령관으로부터 괌 포위사격 방안을 보고받는 모습이 담겼다. 미사일별 작전 가능 범위까지 표시됐다. 세상이 떠들썩했다. 하지만 이들 사진 가운데 괌 미군기지가 6년 전에 찍힌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변변한 위성사진 한 장 없는 북한의 초라한 현실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북한이 어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가 미국 백악관과 펜타곤(국방부) 등을 촬영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앞서 이 정찰위성이 한반도는 물론 미국령 괌과 하와이 등 한·미 주요 군사기지를 촬영했다고도 했다. 연일 “만리를 굽어보는 눈을 가졌다”고 자랑하고 있다. 그런데 어찌 된 영문인지 촬영된 위성사진은 공개하지 않는다. 물론 위성 정찰 능력이 노출되는 것을 기피할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위성사진을 공개할 경우 낮은 해상도 성능이 들통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정찰용이라기보다 대내외 과시용이란 것이다. 북한의 주장이 허풍인지 아닌지는 머지않아 드러날 게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