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슈&현장]“가뭄 예방·대응 통합 관리기구 설치해야”

입력 : 2014-08-25 21:47:07 수정 : 2014-08-26 00:18: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관별로 다른 정보 제공 혼선
“태풍센터 같은 전담기관 둬야”
전문가들은 주기적이고 사회·경제·환경적 피해가 대형화되는 추세인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 컨트롤타워 마련을 이구동성으로 주문하고 있다.

지난 18일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수자원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2014 가뭄 심포지엄’에서 김태웅 한양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수는 문헌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평균 10년에 한번꼴로 가뭄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심각한 가뭄 때는 물 분쟁에 따른 살인사건과 쌀 생산량의 감소, 농민들의 이농사태 등이 빚어지기도 했다.

그런데도 현재 우리나라 가뭄관리는 홍수재해 등과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통합한 종합적인 관리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가뭄지수를 제공하는 기관(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 소방방재청, 농어촌공사)이 가뭄지수를 독립적으로 산정하고 있는 게 대표적이다. 같은 가뭄지수라도 기관별로 다른 값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에 김 교수는 “효율적인 가뭄관리를 위해서 국가태풍센터 및 홍수통제소와 같이 가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전담기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상만 공주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도 ‘국가 가뭄 대응체계 문제점과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가뭄 저감계획 수립이 없다는 문제를 지적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미국은 효율적인 가뭄관리를 위해 1995년 네브래스카주 링컨에 ‘국립가뭄경감센터’를 설립했다. 이곳에서는 팔머가뭄심도지수, 표준강수지수, 작물수분지수, 토양수분지수 등을 조합해 가뭄 현황을 주 단위로 작성한다.

호주는 1906년 뉴사우스웨일스주 멜버른에 설립한 연방기상국에서 강우부족 정보를 3개월부터 36개월까지의 강우 자료를 통해 알려준다. 또 에티오피아, 수단, 우간다 등 아프리카의 24개국은 1989년 케냐의 나이로비와 짐바브웨의 하라레에 각각 가뭄감시본부를 설립해 강우량, 증발산양, 토양수분, 표준강수지수 등을 통한 가뭄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컨트롤타워 부재, 기관별 역할 분담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로 가뭄 예방·대비보다는 대응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가뭄재해 책임기관별 상호협력 관계도 미비하다. 정 교수는 “가뭄은 기상, 농업, 수문, 사회경제적으로 동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뭄상황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며 “국가 가뭄재해 정보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