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센터 같은 전담기관 둬야” 전문가들은 주기적이고 사회·경제·환경적 피해가 대형화되는 추세인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 컨트롤타워 마련을 이구동성으로 주문하고 있다.
지난 18일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수자원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2014 가뭄 심포지엄’에서 김태웅 한양대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교수는 문헌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평균 10년에 한번꼴로 가뭄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심각한 가뭄 때는 물 분쟁에 따른 살인사건과 쌀 생산량의 감소, 농민들의 이농사태 등이 빚어지기도 했다.

정상만 공주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도 ‘국가 가뭄 대응체계 문제점과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가뭄 저감계획 수립이 없다는 문제를 지적했다.

호주는 1906년 뉴사우스웨일스주 멜버른에 설립한 연방기상국에서 강우부족 정보를 3개월부터 36개월까지의 강우 자료를 통해 알려준다. 또 에티오피아, 수단, 우간다 등 아프리카의 24개국은 1989년 케냐의 나이로비와 짐바브웨의 하라레에 각각 가뭄감시본부를 설립해 강우량, 증발산양, 토양수분, 표준강수지수 등을 통한 가뭄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컨트롤타워 부재, 기관별 역할 분담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로 가뭄 예방·대비보다는 대응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가뭄재해 책임기관별 상호협력 관계도 미비하다. 정 교수는 “가뭄은 기상, 농업, 수문, 사회경제적으로 동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뭄상황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며 “국가 가뭄재해 정보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