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추락 무인기 北소행 추정만…'스모킹건' 못 찾아

입력 : 2014-04-11 13:51:49 수정 : 2014-04-11 13:51:4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향후 'GPS 복귀좌표 해독' 여부가 北소행 입증 관건
김종성 UAD 체계개발단장이 11일 대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북 추정 무인기 중간조사 결과 를 발표하며 무인기에 탑재된 부품과 카메라 재원 등을 설명하고 있다.
국방부는 11일 중간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최근 발견된 3대의 추락 무인기가 북한 무인기로 추정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러나 북한이 부인하더라도 이를 일축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는 이날 제시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한미 과학조사팀을 구성, 추락 무인기에 설치된 GPS 좌표 분석 등을 통해 비행 경로를 분석해 무인기 침투가 북한의 소행임을 증명할 소위 '스모킹 건'을 찾는데 향후 조사의 중점을 둘 방침이다.

◇ 합동조사팀이 제시한 北 소행 추정 근거는

합동조사단은 파주, 백령도, 삼척에서 발견된 소형 무인기 3대의 기체를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추락 무인기들이 북한에서 정찰목적으로 제작, 운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우선 소형 무인기의 이동, 촬영 경로가 군사시설이 밀집된 상공 위주였다. 백령도 추락 무인기는 서북도서의 해병부대를, 파주 추락 무인기는 서부전선 주요 축선의 군부대와 청와대를 집중적으로 촬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2012년 4월15일 태양절(김일성 생일) 사열식과 지난해 3월25일 김정은의 1501부대 방문 때 공개된 북한 무인기와 이번에 추락한 무인기들의 색깔과 형태가 유사했다는 점도 정황 증거가 됐다. 특히 하늘색 바탕에 흰색으로 부분 덧칠한 것은 육안 관측을 회피하기 위한 위장색으로 군 당국은 분석하고 있다.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기에서는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지문도 6개 확인됐다.

또 국내 민간 동호회의 무인기와 달리 동체의 대량생산을 위해 금형생산 방식을 적용했고 전자회로 기판을 나무 패널에 부착한 것도 북한 제품으로 추정하는 근거로 제시됐다.

이밖에 무인기의 컴퓨터 칩에 표시된 일련번호 등을 고의로 훼손한 흔적이 발견된 것도 북한이 자신들의 무인기임을 감추기 위한 정황으로 제시됐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부품에는 각종 이름과 일련번호가 있는데 이런 것들을 고의로 지웠다"며 "어디서 부품들을 입수했는지 추적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추정했다.

이밖에 추락 무인기는 항속거리가 180∼300㎞ 정도로 추정되는데 중국이나 일본에서 발진하기에는 항속거리가 너무 짧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됐다.

이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 발진한 것이 아니라면 북한에서 발진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며 "무인기가 이륙하는 데는 발사대와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한데 국내에선 이를 목격했다는 신고자가 없었다"고 밝혔다.

◇ 초기대응 부실, 합동조사 18일간 기체검사만…GPS 좌표 못 풀어

합동조사팀이 제시한 북한 추정 근거는 기체검사를 통해 확인한 사실들이다.

그러나 북한의 소행으로 최종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무인기에 내장된 중앙처리장치(CPU)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GPS 좌표를 분석해야 한다. 추락 무인기들은 사전에 입력된 GPS 좌표를 따라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CPU 등에 내장된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 데이터를 통해 비행경로를 검증해야 어디서 발진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기가 지난달 24일 발견된 이후 18일이나 지났는데 GPS 좌표 등 북한의 소행이라는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 것은 군 당국의 초기대응이 부실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최초 파주에서 정체불명의 무인기가 발견되자 기무부대와 국가정보원, 관할 군부대, 정보사령부, 경찰 등 5개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지역 합동정보조사팀이 가동됐다.

무인기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조사 요원들이 기체에 지문을 남기는 등 초기 조사는 어설프게 진행됐다.

기무부대가 간사를 맡은 지역 합동조사팀은 지난달 27일까지 나흘간 조사를 벌였지만 대공용의점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해 28일 국정원이 간사를 맡은 중앙 합동조사팀으로 사건을 이관했다.

지역 합동조사에서도 ▲ 하늘색 바탕에 흰색을 덧칠한 위장색 ▲ 배터리에 쓰인 북한말 '기용날자' ▲ 군에서만 사용하는 낙하산 사용 등 무인기를 북한 제품으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식별됐는데도 상부 보고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중앙 합동조사팀의 조사가 진행되던 지난달 31일 백령도에서도 무인기가 추락하자 그제야 관계 당국은 북한의 소행으로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백령도에서 추락한 무인기 기체도 국방과학연구소로 옮겨 과학적인 조사에 착수했지만, 내부 컴퓨터칩 분석과 소프트웨어에 대한 해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군의 한 관계자는 "운영체제(OS)가 우리가 사용하는 것과 달라 잘못 만지면 자료가 모두 날아갈 수 있다"며 "사전에 파악한 뒤에 해야 하기 때문에 GPS 분석에는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군 당국은 중앙합동조사팀에 추가해 국방과학연구소 무인기(UAV) 사업단장을 팀장으로 국·내외 민간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과학수사 전담팀을 구성해 조사를 지원하도록 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