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LA 다저스 전 구단주 맥코트, 미국 틱톡 새 주인으로 급부상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05-16 14:54:30 수정 : 2024-05-16 14:54:29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LA 다저스의 전 구단주로 유명한 부동산 재벌 프랭크 맥코트가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인수권자로 떠올랐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맥코트가 설립한 프로젝트 기업인 리버티 이니셔티브가 구겐하임 증권 등과 함께 미국 내 틱톡 사업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 중이다.

 

리버티 이니셔티브는 블록체인 기술 등을 이용해 SNS의 보안 등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 기업으로 맥코트는 지난 2021년 이 기업에 1억달러를 투자하며 운영에 뛰어들었다. 맥코트는 틱톡 인수 시 이 프로젝트 기업의 플랫폼을 재정비해 개별 사용자가 자신의 디지털 신원과 데이터를 더 잘 통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틱톡은 중국기업 바이트댄스가 운영 중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미국 내에서만 약 1억7000만명의 사용자를 보유하며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미국인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여론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우려가 미국 정치권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결국, 지난달 ‘틱톡 강제 매각법’이 제정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했다. 바이트댄스가 27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하도록 하는 법이다.

 

틱톡은 이 법의 합헌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연방 소송을 제기했고, 바이트댄스는 미국 사업장을 기한까지 매각할 수 없으며 매각하지 않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맥코트는 자신의 기업이 미 행정부가 제기한 보안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적임자라면서 인수전에 뛰어든 것으로 보인다.

 

틱톡 인수에 관심을 표명한 이들은 이전에도 있었다. 스티븐 므누신 전 미국 재무장관과 오셰어즈 ETF 회장인 케빈 오리어리 등이다.

 

매각 성사 여부와 관계없이 인수 금액이 얼마가 될지도 관심거리다. 틱톡의 기업가치는 최소 200억 달러(약 27조원)에서 1000억 달러(약 135조원)에 달한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