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모니터링·AR체험도
2027년 7월까지 사업 연장
제주도가 국토교통부 지정 전국 최대 규모(891㎢) 드론 전용 규제 특구인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사업을 통해 다양한 드론 기반 행정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16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는 2021년 6월(1차), 2023년 6월(2차)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돼 올해 6월까지 운영했다. 3차 연장 공모에 선정돼 2027년 7월까지 사업을 이어간다.
2021년부터 현재까지 29개의 드론 관련 사업을 추진했다. 올해는 유선 드론을 통한 안전 모니터링, 드론 활용 관광,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 제작 등 서비스가 진화하고 있다.
우선 축제·행사 안전 모니터링을 위해 6시간 이상 공중에 뜰 수 있는 유선 드론을 투입한다. 실시간 모니터링과 인공지능(AI) 기술로 인파 밀집도와 행사 참여 인원수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도는 드론, 도심항공교통(UAM) 관광 활성화를 위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체험·홍보도 추진했다. 부속섬 생활 물류 개선을 위한 드론 배송 사업은 올해 5월부터 170회, 330개 물품을 배송하는 등 실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하고 있다. 비양도, 마라도, 가파도 등 부속섬으로 배달음식, 택배, 개인물품 등을 배송한다.
비양도에서는 ‘2025 제주 환경지킴이 현장 실천 활동’, ‘싱가포르의 주요 인플루언서 초청 팸투어’에 드론 배송 체험을 제공했다. 최근 인도네시아 환경 운동가 니나 등 30여명이 해안가 쓰담달리기(플로깅)를 하고 비양리마을회가 수거 공병으로 만든 한정판 마키토리 그린티 제품을 드론으로 받았다.
실종자 수색 드론 항로 제작 사업도 연내 2회 실증할 예정이다. 오름, 해안가 등 주요 실종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종의 드론에서 활용 가능한 수색 항로를 제작해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수색 활동을 지원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금융계급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6/128/20251116509770.jpg
)
![[특파원리포트] ‘일단’ 발등의 불 끈 한·미 동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6/128/20251116509764.jpg
)
![[이삼식칼럼] 인구절벽 극복을 위한 세 가지 선택](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6/128/20251116509755.jpg
)
![[심호섭의전쟁이야기] 드론이 만든 21세기형 진지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6/128/2025111650974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