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관련주 중심으로 세계 증시가 하락세를 보이며 ‘AI 거품론’이 다시금 조명되고 있다. AI 관련 기업들의 실질 수익화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과도한 기대감이 주가를 과도하게 부풀렸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설비투자를 둘러싼 감가상각 논란까지 일며 AI 산업의 실질 수익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더 고조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 -5.45%, SK하이닉스는 -8.50%…아시아 증시 모두 ‘마이너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4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59.06포인트(3.81%) 내린 4011.57에 거래를 마쳤다. 특히 반도체 대형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삼성전자는 5.45% 내린 9만7200원, SK하이닉스는 8.50% 급락한 56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모두 최고가(SK하이닉스·64만6000원, 삼성전자 11만2400원) 대비 약 13%가량 빠진 셈이다.
주요 아시아 국가들의 증시도 기술주를 중심으로 강한 하락세를 보였다. 일본의 대표 주가 지수인 닛케이 225 평균주가도 1.77% 떨어진 5만376.53에 장을 마쳤다. 대만 자취안지수(TAIEX)도 2만7397.50으로 1.81% 빠진 채 마감했다. 중국에선 CSI 300 지수가 1.57% 하락했고, 홍콩 항셍지수는 1.85% 떨어졌다.
이날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장초반 급락했다 강보합이 발생하는 혼조세로 마감됐다. 1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9.74포인트(0.65%) 내린 4만7147.48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3.38포인트(0.05%) 떨어진 6734.11, 나스닥종합지수는 30.23포인트(0.13%) 오른 2만2900.59에 장을 마쳤다.
◆AI 관련주 실질 수익성보다 ‘과대평가’
이처럼 AI 관련주 중심으로 전 세계 증시가 하락세가 나타나며 그동안 제기돼 온 ‘AI 거품론’에 이목이 쏠린다. 현재 AI 관련 기업들의 주가와 투자 규모가 실제 수익과 생산성 증가를 넘어선 수준이며, 많은 투자자들이 이를 이성적으로 판단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는 것이 AI 거품론자들의 주장이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월가의 베테랑 투자자 마크 모비우스는 “AI 관련 대형주들의 밸류에이션 과열됐다”며 “약세장이 올 경우 최대 40%가량의 조정이 와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영화 ‘빅쇼트’의 실존 인물로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했던 유명 공매도 투자자 마이클 버리는 “나는 AI 기업 주가가 거품 상태이며 하락(폭락) 가능성이 커졌다고 행동으로 보여줬다”고 언급했다. 마이클버리는 최근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 대한 대규모 풋옵션하락 베팅 매수 사실을 공개한 바 있다.
◆AI칩 수명 ‘2년’에 불과…대규모 ‘빚투’ 청산 파급효과
최근에는 AI 인프라의 ‘감가상각’ 문제까지 더해졌다.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기술 인프라 투자자)들이 AI 칩에 천문학적 자금을 투자하는 만큼 AI 칩의 실제 가용 연한은 회사의 실적과 기업 채권 투자자, 대출 기관에 핵심 요인이 된다. 빅테크들의 예상보다 AI 칩의 감가상각이 빠르게 이뤄져야 한다면 실적 전망치와 회사채 금리, 주가까지 모두 재산정돼야 한다는 논리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오라클 등 주요 하이퍼스케일러들은 엔비디아의 AI 칩과 서버가 최대 6년 동안 사용 가능하다고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빨리 감가상각될 수 있다는 관측이 많다. MS조차 최근 연간보고서에선 자사 컴퓨터 장비의 내용연수 최저치를 2년으로 제시했다. 6년보다 훨씬 짧다.
세계적인 경제학자 모하메드 엘에리언은 지난 13일 “AI 투자가 기술적 혁신에 기반하고는 있지만, 과도한 기대와 검증되지 않은 실적을 앞세운 투자행태가 거품 위험을 높인다”며 “결국엔 '눈물이 날 '이 생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게다가 기술주 중심으로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가 컸던 점 등을 고려하면 이번 급락으로 발생한 대규모 청산이 국내 증시 하락세를 더 가속할 가능성도 높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타대출은 지난달 1조6000억원 늘며 전월(-2조4000억원)과 비교해 4조원의 편차를 보였다. 기타대출에는 일반신용대출과 신용한도대출, 예·적금 담보대출 등이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제주 해변이 ‘신종 마약 루트’?](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503.jpg
)
![[기자가만난세상] 김포를 바꾼 애기봉 별다방 1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6/26/128/20250626518698.jpg
)
![[삶과문화] 김낙수와 유만수는 왜 불행한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09/128/20251009511351.jpg
)
![[박일호의미술여행] 로코코 미술과 낭만주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317.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