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캄보디아 범죄조직이 두바이·서아프리카로 이동하고 있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1-15 23:00:00 수정 : 2025-11-15 21:22:32
안승진 기자 prod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캄보디아 한국인 사망사건을 계기로 캄보디아 당국의 범죄조직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자 범죄조직원들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등 중동과 서아프리카 국가로 이동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온라인 공간에서 범죄가 이뤄지는 만큼 조직들이 단속 강화로 거점을 옮겨 다니는 풍선효과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16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인근 범죄단지로 알려진 '망고단지' 외벽에 철조망이 깔려있다. 연합뉴스

김다은 상지대 교수(경찰법학과)는 14일 서울 중구에서 열린 한국국제조직범죄학회 심포지엄에서 “온라인 스캠 범죄 초기에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집중됐는데 지금은 새로운 허브가 빠르게 생성되고 있다”며 “인터폴은 서아프리카가 새로운 허브로 지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영어를 쓰는 나이지리아, 가나와 불어를 쓰는 세네갈 등과 인접해 동시에 같은 언어권을 (범행대상으로) 접촉할 수 있다”며 “사기 접근성과 신뢰를 위장하는데 유리하고 해적망이 있어 가상자산 수요도 높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인터넷만 되면 어디든 (스캠 범죄 조직의) 공격대상이 된다”며 “메콩강 일대와 남아시아, 서아프리카, 중동 등이 가상자산과 연동되면서 다국적 공급만이 완성됐다”고 지적했다.

 

필리핀 코리안데스크(한인 전담 경찰관) 파견 경험이 있는 이지훈 경감은 “중국 (온라인 스캠) 조직들이 두바이 불법 도박 쪽으로 많이 갔다고 한다”라며 “조직은 법인을 세워 대포통장을 만들기까지 하는데 두바이는 돈 흐름에 대한 간섭이 적다”고 전했다. 이 경감은 “두바이는 중국인이 무비자고 중국인 단지까지 형성돼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며 “중국조직과 함께 우리나라 조직도 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박보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박사는 스캠 단지가 형성되는 국가의 조건으로 정부 영향력 제한, 외국인 투자와 국경 등에 대한 치안공백, 기본 인프라 등을 꼽았다. 캄보디아의 경우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으로 카지노와 호텔 등 인프라가 급속도로 구축됐지만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중국 기업들이 철수하면서 범죄조직이 대신 자리를 차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찰은 이 같은 풍선효과를 면밀히 모니터링 하겠다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도피사범 현황을 보면 5년 전만해도 중국이 압도적 1위였지만 최근엔 캄보디아가 중국을 넘어섰다”며 “캄보디아(범죄조직)도 내년까지 유지될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오피니언

포토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