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10월 소비자물가·고용 보고서 영원히 안 나올지도"
이코노미스트 10명 중 8명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로이터는 자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105명의 이코노미스트 중 84명(80%)이 약화하는 고용 시장을 지탱하기 위해 연준이 또다시 기준금리를 25bp(1bp=0.01%p) 낮출 것으로 내다봤다고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80%는 지난달 로이터의 조사 때보다 소폭 상승한 것이다.
반면 21명(20%)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전망했다.
로이터는 이처럼 확신이 강화된 것은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 간에 연내에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한지를 놓고 뚜렷한 의견의 불일치가 나타나는 것과 대비된다고 지적했다.
앞선 10월 FOMC에선 이례적으로 위원들 간 이견 속에 0.25%p 금리 인하가 이뤄졌다.
시장에선 12월 회의에서도 금리가 인하될 것이란 관측이 많았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말 기자회견에서 평소와 달리 단호한 어조로 12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투자은행 UBS의 미국 담당 이코노미스트 애비게일 와트는 "대체적인 감은 노동 시장이 여전히 상대적으로 약해 보인다는 것이고, 그게 연준이 계속해서 12월 금리 인하를 할 것으로 보는 핵심 이유의 하나"라면서 "12월의 잠재적 리스크는 약하다는 감을 잠재우는 데이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동 시장에 대한 우려가 인플레이션 요인보다 얼마나 더 지배적이냐를 두고 이미 견해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설문에선 또 거의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내년 1분기에 기준금리가 3.25∼3.50%까지 추가 인하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응답자들의 중간값이기도 한데 현재보다 0.5%p 낮은 수준이다.
또 다른 질문에 응답한 52명 중 36명(69.2%)은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 이후에도 고용 증가가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의 스티븐 주노는 "파월이 노동 시장의 하방 위험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더 많은 명백한 신호를 보지 않는 한 12월(금리 인하)은 정해진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한편 시장에서는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종료되면 그동안 '깜깜이' 상태였던 고용·물가 등의 경제 데이터가 발표되면서 통화 정책 경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될 것으로 기대해왔지만 이날 백악관은 그러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비농업 고용보고서가 영원히 공개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미 노동통계국(BLS)이 매달 발표하는 CPI와 비농업 고용보고서는 연준이 정책금리 결정의 판단 근거로 사용해온 지표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아베 본색’ 다카이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7.jpg
)
![[세계포럼] ‘종묘 뷰’ 세운상가 재개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5.jpg
)
![[세계타워] ‘야수의 심장’ 속마음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27.jpg
)
![[기고] ‘외로운 늑대’ 설칠까 불안한 대한민국](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163.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