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연 “ISS 접근 고려해 결정”
한화에어로, 민관 첫 주관 수행
누리호 4차 발사가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당국은 발사체 준비를 마치고 마지막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발사 시간대 국제우주정거장(ISS)이 누리호에 접근할 것으로 예상돼 이를 고려해 발사 시간을 정할 계획이다.
12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항우연은 전날 한국과학기자협회 온라인 설명회에서 누리호 4차 발사 준비 상황을 설명했다. 누리호는 27일 0시54분에서 오전 1시14분 사이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처음으로 새벽 시간대 진행된다. 발사체엔 차세대중형위성 3호가 탑재되는데 이 위성이 고도 600㎞를 돌면서 극지방 오로라를 관측하는 임무를 맡았기 때문이다.
해당 시간대에 누리호를 발사해야 차세대중형위성 3호를 제 궤도에 보낼 수 있다. 한영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발사체연구소장은 “오후 6시에 발사하나 새벽 1시에 발사하나 기술적으로는 거의 같지만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니까 휴먼 에러(인간적 실수)를 줄이기 위해 더 조심하자고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3차 발사보다 탑재 중량은 두 배로 늘었고, 목표 고도도 높아졌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민간 큐브위성 등 부탑재위성 12기가 실린다. 항우연은 여러 큐브위성을 효과적으로 탑재·사출할 수 있는 ‘다중 위성 어댑터(MPA)’를 적용했다. 위성 사출을 관찰하는 상단 내부 카메라도 1대에서 3대로 늘렸다. 주탑재위성이 분리되면 큐브위성은 20초 단위로 2기씩 사출된다.
발사 시간은 0시54분에 가까운 시간으로 정해질 전망이다. 오전 1시12분쯤 고도 400㎞에서 지구 주변을 도는 ISS와 누리호 간 거리가 좁혀질 것으로 예상돼서다. 우주비행사가 상주하는 ISS는 길이 108m, 폭 73m로 축구장 크기와 비슷하다.
4차 발사는 누리호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는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을 통해 제작된 첫 발사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처음으로 참여업체 관리와 단조립, 전기체 조립 등 제작 전 과정을 주관해 수행한다. 누리호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2021년(1차)부터 2027년까지 6차례 발사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아베 본색’ 다카이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7.jpg
)
![[세계포럼] ‘종묘 뷰’ 세운상가 재개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5.jpg
)
![[세계타워] ‘야수의 심장’ 속마음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27.jpg
)
![[기고] ‘외로운 늑대’ 설칠까 불안한 대한민국](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163.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