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매몰자 구조가 7일로 이틀째 이어지는 가운데 붕괴 원인을 놓고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다.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울산 남구 용잠동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대형 보일러 타워가 무너진 것은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쿵'하는 소리와 함께 무너지자 현장과 200m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굉음을 느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는 1981년 준공 이후 40년가량 스팀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다가 2021년부터 사용이 중지된 철재 구조물이다.
동서발전이 해체 공사를 발주해 HJ중공업이 시행사를 맡고, 코리아카코(발파업체)가 하도급받아 지난달부터 취약화 작업을 하던 중 사고가 났다.
취약화 작업은 발파를 통한 철거 전 구조물이 쉽게 무너지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 역할을 하는 철재 등을 미리 잘라놓는 공정이다.
사고 당일도 코리아카코 측 작업자들이 아침부터 조를 나눠 서로 다른 지점에서 취약화 작업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붕괴는 이들이 25m 높이에서 산소절단기 등 공구로 구조물 일부를 절단하는 작업을 하다가 발생했다.
관련 업계에선 작업 중 한쪽에 하중에 더 많이 실리면서 무게중심이 흔들려 사고가 났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마치 나무를 벨 때 도끼질을 더 많이 한 쪽으로 무너지듯 보일러 타워가 붕괴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소방 당국도 현장 브리핑에서 "구조물 기둥 등을 다 자르고 하기 때문에 거기에서 흔들렸다든지, 기울어졌다든지 여러 문제가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작업 전에 제대로 된 안전 관련 조치가 이뤄졌는지가 관건이 된다.
중심이 흔들려 한쪽으로 무게가 실렸더라도 주변에서 보일러 타워가 넘어지지 않도록 와이어(끈)가 잡아 주는 설비나 받쳐주는 장치가 있었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다.
사고 직후 현장을 찾았던 업계 관계자는 "붕괴 가능성에 대비해 보일러 타워 무게를 지탱해주는 와이어 작업을 했는지 등이 사고 원인에 중요한 지점이 될 수 있다"며 "와이어 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를 생략했는지 여부는 확인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서규석 전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회장도 "구조물이 넘어갈 것에 대비해 와이어를 걸거나 레커로 지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따른 가능성은 구조물이 작업 중 뒤틀린 것이다.
보통 대형 구조물 철거는 균형 유지를 위해 상부에서부터 작업하는데, 사고 당시 작업자들이 25m 높이에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해당 부분에 보일러 타워를 떠받치는 지지대나 기둥 등이 다른 지점보다 집중적으로 설치돼 있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예상보다 기둥이나 지지대가 노후화해 작은 충격에도 순간적으로 뒤틀리면서 한쪽으로 쏠렸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창삼 인덕대 스마트건설방재공학과 교수는 "철거를 위해선 결국 하중을 받는 기둥을 손대야 하는데 오래된 구조물일수록 비틀림에 매우 약하다"며 "비틀림이 발생하면 완전히 넘어가 버린다"고 말했다.
실제 무너진 보일러 타워는 준공 후 44년이 지난 상태에서 해체 작업에 들어갔다.
사고 현장에는 붕괴한 5호기를 포함해, 4호기와 6호기 등 총 3개의 보일러 타워가 30m 정도 간격을 두고 나란히 늘어서 있으며 오는 16일 발파를 통해 모두 철거될 예정이었다.
이 가운데 4호기는 취약화 작업을 완료했고, 6호기는 취약화 전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노동부는 압수수색 등 강제 수사를 적극 추진해 사고 원인을 밝힐 계획이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