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업 재직 여성 “인포데스크 업무 여성만”
30대 남성 “여성 가점제 성평등에 기여하냐”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시나리오 공모를 받을 때 공모 주체가 여성이거나 주인공이 여성이면 가산점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행정 편의주의적인 발상 가산점 제도가 성평등에 기여하는지 의문입니다.”
성평등가족부가 29일 서울 성동구 KT&G 상상플래닛에서 개최한 ‘제1차 성평등 토크콘서트 소다팝’에서 30대 한 남성이 현실에서 느끼는 성차별에 관해 이렇게 토로했다. 소다팝은 ‘소통하는 청년들이 성평등의 다음 페이지를 여는 팝업 콘서트’라는 의미로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이후 성평등부에 남성 역차별 관련 대책을 주문한 데 따라 마련됐다. 성평등부는 연말까지 5차례 행사를 연다. 성별 인식 격차의 현황과 원인을 알아보고 해법을 모색한다는 취지다. 이날 참석자 성별은 남성 11명, 여성 10명이이었고, 연령대는 30대 12명, 20대 9명으로 이뤄졌다.
‘성별 불균형 경험’으로 여성 가산점 제도를 언급한 30대 남성 발언으로 행사장은 열기를 더했다. 이 남성은 가산점 제도가 오히려 여성 감독에게 굴레로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성 감독이나 작가가 ‘가산점 아니면 안 되는 거 아니냐’는 평가나 스스로 검열하게 될 수 있다”고 했다.
20대 남성 장모씨도 이 같은 주장에 의견을 보탰다. 그는 여성기업을 조달시장에서 우대하는 제도를 예로 들었다. 여성기업은 여성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기업으로 대표가 여성일 경우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장씨는 “남성이 대표인 기업이 부인 명의로 회사를 세워 조달시장에서 가점을 받는 사례를 많이 봤다”고 지적했다.
가점 제도가 필요하다는 반박도 제기됐다. 30대 남성 석씨는 모든 분야에서 여성이 차별받고 있는 현실이 엄연히 존재한다며 “영화계나 기업계에 남성이 많아 생긴 제도가 가점제도”라며 “‘윤희에게’ 등 신선한 영화가 나올 수 있는 이유도 가점제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도를 악용하는 부작용이 있다면 부작용을 막아야지 제도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라고 강하게 항변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20대 남성 역차별’ 발언을 하는데 어떤 답이 나올지 너무 궁금하다”고도 부연했다.
열기가 과열되자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이 토론을 끊어가기도 했다. 원 장관은 “이 자리는 ‘옳다 그르다’보다 생각을 열어놓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젠더 갈등 인식은 청년 세대에서 유독 두드러진다. 한국리서치의 ‘2025 젠더인식조사’ 결과 20대는 10명 중 8명, 30대는 10명 중 7명꼴로 젠더 갈등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이 대통령이 젠더 갈등에 대해 “아프지만 헤집어야 치료된다”고 말하고, 성평등부가 이날 행사를 개최한 배경이다.
현장에서는 ‘여성이기 때문에 겪는 일’을 토로하는 시간도 이어졌다. 30대 여성 김 모씨는 “정보기술(IT) 기업에 기술직으로 취직했는데 여자라는 이유로 인포데스크를 지키는 일을 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며 “서비스 업무는 여성에게 집중됐다”고 했다. 이어 “실력이 도태되고, 직원들 대화에 낄 수 없었다”며 “남성 역차별을 이야기하지만, 여전히 여자들이 차별받는다고 전해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여성 안전 문제도 주요하게 거론됐다. 1인 자영업자라고 소개한 한 30대 여성은 “손님한테 폭언, 폭력을 당하기도 해 여성 자영업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해당 참가자가 울먹이며 말하자 원 장관은 “일하는 공간이 안전해야 한다는 부분에 대해 고용노동부와 함께 고민하겠다”고 다독했다. 원 장관은 “노동부에서 3가지 업무가 넘어왔지만, 고용되지 않은 자영업자분들 등 빈틈이 있어 국회에도 법안이 발의되고 있다”고 했다.
또 다른 30대 여성도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느끼는지에 대해 성 차이가 크다고 생각한다”며 “1인 가구인데 집 앞에 누구 담배를 피고 있으면 바로 들어가지 않는다”며 “여성들은 다 같은 경험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 장관은 이날 행사를 시작으로 더 많은 경청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성별 인식 격차) 문제를 오늘 다 풀지 못하겠지만 한번 이야기해보고, 오해를 풀어야, 그래야 나아갈 수 있다”며 “정책의 밖에 있다가 안으로 들어오니 밖의 말을 더 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오늘 나온 이야기 중 다른 부처와 함께할 부분은 함께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