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트럼프 “인도·파키스탄 휴전도 내가 이끌어…250% 관세로 위협”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29 22:00:38 수정 : 2025-10-29 22:00:37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인도와 파키스탄의 무력충돌 당시 자신이 휴전을 끌어냈다고 29일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특별연설에서 자신이 두 나라 정상에게 전화해 관세로 압박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 서밋(APEC CEO SUMMIT)'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공동취재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통화에서 “파키스탄과 전쟁을 하는 한 당신과 무역협상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는 파키스탄에도 비슷한 전화를 했다면서 “양측 모두 ‘우리가 싸우게 내버려 두라’고 반응했다”고 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에 2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면서 “이틀 뒤 그들이 전화해서 ‘이해했다’고 하더니 교전을 멈췄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 파키스탄이 “강경한(tough)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특히 “모디 총리가 정말 착해 보이는 사람이지만 사실은 엄청나게 강경한 ‘킬러’”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5월 초 인도는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에 보복하겠다며 파키스탄 내 9곳에 미사일 공격을 벌였다.

이후 양국은 전투기·무인기 등을 동원한 공중전과 포격을 주고받으면서 전면전 직전까지 갔다가 사흘 만에 휴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 서밋(APEC CEO SUMMIT)'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공동취재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무역을 지렛대 삼아 휴전을 중재했다고 밝혔지만, 인도 정부는 그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면서 반발해왔다.

지난 6월 인도 정부는 성명에서 “모디 총리는 인도가 과거에도 제삼자 중재를 받아들인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결코 그럴 일은 없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를 계기로 한때 가까웠던 트럼프 대통령과 모디 총리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한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 문제를 들어 지난 8월부터 인도에 총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모디 총리가 지난 26∼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이례적으로 불참한 것은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파키스탄에 대해 언급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소식통들이 블룸버그에 전했다.


오피니언

포토

[포토] 윈터 '깜찍하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김유정 '친애하는 X'
  • 아이브 레이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