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라면 빨리 끓이려고 ‘이 물’ 넣었는데…“당장 멈춰야” 전문가 경고, 왜?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10-28 07:37:39 수정 : 2025-10-28 10:49:37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라면 등 조리를 할 때 물을 빨리 끓이기 위해 수돗물 온수로 음식을 조리하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전문가 경고가 나왔다.

 

라면 등 조리를 할 때 물을 빨리 끓이기 위해 수돗물 온수로 음식을 조리하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전문가 경고가 나왔다.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는 수돗물을 마시거나 요리에 사용할 때 반드시 냉수를 쓸 것을 권고했다.

 

이는 수돗물 온수와 냉수가 흘러나오는 경로가 다르기 때문이다.

 

냉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된 깨끗한 물이 수도관을 통해 가정으로 직접 공급되지만,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배관을 거쳐 나온다. 이 과정에서 배관에 고여 있던 물이 함께 흘러나오며, 구리·납·니켈·철·아연 등 중금속이 섞일 위험성이 커진다.

 

특히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납의 용출량이 증가하고, 노후 배관일수록 오염 위험은 배가된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에서는 온수에서 독성물질인 페놀이 음용수 기준치(리터당 0.0005mg)를 초과해 검출된 사례가 있었다.

 

문제는 이런 중금속은 ‘끓여도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수돗물 속 염소 소독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발암물질 트리할로메탄이나 박테리아 등은 끓이면 대부분 제거되지만, 중금속은 제거되지 않는다. 결국 온수로 라면을 끓이거나 국물 요리를 하면 중금속을 그대로 섭취하게 되는 셈이 된다.

 

전문가들은 “납과 수은, 카드뮴 같은 중금속은 체내에 축적돼 배출되지 않으며 신경계·신장·간·혈액 등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특히 성장기 어린이와 임산부에게는 매우 치명적”이라면서 “납은 신경 발달 장애와 학습장애, 행동 문제를 유발하고, 수은은 기억력 감퇴·시력 저하·신장 손상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카드뮴은 신장 기능 저하와 골격 약화, 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고 강조했다.

 

안전하게 수돗물을 사용하려면 음식 조리 시 반드시 냉수를 써야 하는 것이 기본이며 냉수일지라도 장시간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10~30초 정도 물을 흘려보내 배관 속 고인 물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만약 수돗물에서 이상한 냄새나 색깔이 감지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관할 보건당국에 신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피니언

포토

김고은 '사랑스러운 눈빛'
  • 김고은 '사랑스러운 눈빛'
  • 안은진 물오른 미모…시크 표정으로 찰칵
  • 복근 드러낸 김태리, 신비롭고 몽환적이고 섹시하고
  • 정려원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