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률 상위지역 수도권에 집중
올해 3분기 전국 땅값이 0.5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은 1% 넘게 오르면서 유일하게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3분기 전국 지가는 0.58% 올라 2023년 3월 이후 31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2분기(0.55%)보다는 0.03%포인트 확대됐지만, 전년 동기(0.59%)와 비교하면 0.01%포인트 축소됐다. 월별 지가변동률은 7월 0.187%, 8월 0.191%, 9월 0.197%로 완만한 상승세가 지속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분기 0.74%에서 3분기 0.80%로 오름폭이 커졌고, 지방권은 0.22%에서 0.19%로 축소됐다. 서울(1.07%)은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상승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실제 상승률 상위 지역은 수도권에 집중됐다. 시군구별로는 서울 용산구가 1.96% 오르며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강남구(1.68%), 서초구(1.35%) 등 순이었다. 전국 252개 시군구 중 이들 지역을 포함한 40곳이 평균을 상회했다.
전체 시군구 중 79%(199개)는 변동률이 0.00%∼0.80% 범위에 머물렀다. 인구감소지역 89개 시군구의 지가변동률은 0.13%로 비대상지역(0.62%) 대비 0.49%포인트 낮았다.
용도지역별로는 도시지역 내 주거지역(0.69%)이, 이용 상황별로는 상업용(0.66%)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토지 거래는 줄어들었다. 3분기 전체 토지거래량은 44만5000필지(240.7㎢)로 2분기 대비 6.0%,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8.1% 각각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14만3000필지(215.6㎢)로 2분기 대비 9.8%, 전년 동기 대비 4.9% 줄었다.
지역별로는 전체 토지거래량이 부산(11.9%)과 충북(5.0%)만 2분기 대비 증가했고, 나머지 15개 시·도는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서울(2.9%)과 경기(0.3%)만 늘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