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이 열악한 기초자치단체들이 현금성 지원을 반복하면 미래 세대에 부담만 지우는 셈이 될 것입니다.”
전북도의회 이명연 의원은 27일 열린 제422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형평성과 재정 건전성을 고려한 민생지원금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이같이 강조했다.
이 의원은 최근 정읍, 남원, 김제, 완주, 진안, 고창, 부안 등 7개 시·군이 자체 민생지원금을 지급하거나 추진 중이지만, 이들 대부분은 재정자립도 25% 이하의 열악한 재정을 가진 지자체라고 꼬집었다. 또 “단기적 현금성 지원이 반복되면 재정의 지속가능성이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시한 자료를 통해 “전북도의 올해 기준 재정자립도는 22.9%, 재정자주도는 36.5%로 전국 평균보다 낮다”며 “그런데도 일부 시·군이 통합재정안정화 기금이나 세출 조정을 통해 민생지원금을 지급하는 것은 필수 복지·교육·인프라 예산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방향으로 재정 충당 방안의 명확화를 제시했다. 그는 “지방세 수입 확충, 불용예산 절감, 보조사업 연계 등 실질적인 재원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재원 출처에 대한 명확한 설명 없이 주민 세금을 집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사전 검토 절차와 형평성 투명성 강화를 주문했다. 이 의원은 “지자체는 민생지원금 지급 전 재정 영향과 경제적 효과, 수혜 범위 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하며, 도의회 의견 청취나 동의 절차도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지원 대상, 규모, 시기 등에 대해서도 “주민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지역 여건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명연 의원은 “민생정책은 도민의 삶을 지탱하는 최후의 안전망이지만, 재정의 지속 가능성이 확보되지 않은 현금성 지원은 미래 세대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형평성과 책임 있는 재정운용을 바탕으로 한 지속 가능한 민생정책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가난의 대물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76.jpg
)
![[데스크의 눈] 설국열차와 부동산 시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87.jpg
)
![[오늘의 시선] 한국외교에 경종 울린 ‘캄보디아 사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57.jpg
)
![[안보윤의어느날] 서툰 말 서툰 마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799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