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화천연가스(LNG) 수요를 조절할 시 온실가스 감축뿐 아니라 경제적 편익과 재생에너지 전환도 확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후환경단체 기후솔루션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 ‘에너지 안보의 재정의: LNG 감축이 보여주는 경제적 편익’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1차 에너지 공급 해외 의존도는 2024년 기준 94%에 달한다. 이중 천연가스(20.1%) 등 화석연료 비중도 전체 공급의 80.5%에 이른다.
수입 비중이 높긴 하지만, LNG 국내 수요는 점차 줄어드는 중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까지 세계 가스 수요가 최대 79%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우리 정부가 지난 2023년 발표한 제15차 수급계획에서도 국내 LNG 총수요는 2023년 4509만t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해 2036년 3766만t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수요가 줄어드는 가운데 비용적 부담은 커지는 추세다. 한국의 화석연료 수입액은 2000년대 초반 300∼400억 달러 규모에서 2010년대 중반 1000억 달러를 넘겼다. 그러다 2022년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LG 가격이 상승해 전체수입액이 전년 대비 59% 증가한 2159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해 한국이 기록한 연간 무역적자 477억 달러에서도 수입액 급증한 것도 상당 부분 에너지 가격 상승 때문이었다.
보고서는 LNG 수요 감축 속도를 현실적인 선에서 높이면 기후목표 달성과 함께 에너지 안보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2024년 수준 유지 △정부 제15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2023~2036)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1.5℃ 기후목표 시나리오 각각에 따라 LNG 수요를 조절했을 때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정부 계획대로만 가도 LNG 수입량을 약 7700만t 줄일 수 있었다. 예상 연료비 절감액은 47조 원에 달했다. 보고서는 한발 더 나아가 IPCC의 1.5℃ 시나리오에 따라 수입량 2억5000만t을 추가 감축한다면 누적 213조원을 더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IPCC 1.5℃ 시나리오를 따른다면 총 260조원의 경제적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보고서는 절감된 비용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로 전환도 이룰 수 있다고 바라봤다. 해당 재원을 에너지 설비 투자에 투입, 태양광 184GW, 육상풍력 78GW, 해상풍력 34GW 규모의 설비를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현재 국내 누적 보급량(태양광 약 28GW, 풍력 2GW)을 크게 넘어서는 규모다. 이어 연료비 절감액 260조원이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2038년까지 226조원)를 넘긴다는 점도 짚었다.
비용 절감과 재생에너지 전환은 에너지 안보와도 연결된다. 보고서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일본, 독일, 프랑스 등이 LNG 가격 상승에 영향을 받았다며 “수입 의존을 유지하는 것이 에너지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새로운 안보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솔루션은 오는 연말 수립될 제16차 천연가스 수급계획에도 이런 관점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제15차 수급계획은 과거 계획보다 LNG 수요를 완만히 줄이는 방향으로 전환하면서, 일정 수준의 연료비 절감과 에너지 안보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면서도 “그러나 이는 절감 경로의 일부에 불과하며 2050 탄소중립과 1.5℃ 목표 달성에 필요한 감축 속도에는 여전히 크게 못 미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LNG 수요는 이미 정점을 지나 완만히 감소하는 흐름에 있다. 정책적으로 명확히 제동을 걸어야 한다”며 “LNG 수요 감축과 재생에너지 확대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안보 강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지”라고 제안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