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십 기회 등 취·창업 지원 미비해
“시·대학·산업 간 협력 모델 구축을”
정부가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하고자 해외 우수 인재 유치를 적극 추진하는 가운데, 기존 유학생들의 취업 연계를 통한 정착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특히 전체 유학생의 절반 정도가 몰려 있는 서울시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25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서울시 해외 유학생 유치 및 정착 연계 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엔 외국인 유학생 약 7만5000명이 체류 중이다. 2015년 3만2000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0년 사이에 2배 넘게 늘었다. 이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44.7%, 시의 외국인 인구 15.4%에 해당한다.
서울시는 ‘외국인주민 정책 마스터플랜’을 통해 해외 이공계 인재 유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이공계 유학생 비중은 낮은 편이다. 지난해 4월 기준 학사, 석·박사 과정을 통틀어 인문사회 계열이 49.6%로 가장 많고 예체능 계열이 11.9%로 뒤를 이었다. 공학은 7.2%, 자연과학 2.3%, 의학이 0.3%이고, 나머지는 어학연수 또는 기타 연수다.
연구원이 올해 4∼5월 한 달간 서울 소재 30개 대학의 유학생 지원 부서 대표자 22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59.1%가 ‘문과·예체능 계열 유학생의 취·창업 지원이 이공계에 비해 불리하다’고 답했다. 문과·예체능 계열 유학생에게 필요한 지원으로는 응답자 87.0%가 ‘직무 경험 기반 인턴십 기회 제공’을 꼽았다.
아울러 유학생 정착을 위해 ‘취업 연계 프로그램 확대’(78.3%·복수 응답) 못지않게 ‘안정적 비자 체계’(73.9%)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유학생의 국내 진로 지원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도 ‘비자 요건’(73.9%·복수 응답)이 꼽혔다. 이어 ‘언어 능력의 한계’(43.5%), ‘기업의 외국인 채용 꺼림’(39.1%), ‘인턴십 기회 부족’(34.8%) 등 순이었다.
이와 관련해 연구원은 “전체 유학생의 절반 이상이 인문사회 및 예체능 계열에 집중돼 있는데도 이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미비하다”며 “구직(D-10) 비자나 특정활동(E-7) 비자 취득 시 요구되는 기업 요건, 서류 부담, 심사 기준 등 복잡성이 대학과 유학생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외국인 유학생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서 서울시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현재 유학생 정책은 유치·교육(대학), 수요(산업계), 정착 지원(지방자치단체) 간 연계가 부족해 시가 정책 연결 고리로 기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시를 주축으로 대학과 산업 간 협력 모델을 만들고 유학생 취업·정착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자는 취지다. 연구원은 “서울시의 창의·융합 산업과의 전략적 결합을 통해 K콘텐츠, 디자인, 도시 외교 등 분야에서 문과·예체능계 유학생을 산업 파트너로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中 관광객 운전 허용’ 우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78.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사관 역할 아직 끝나지 않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38.jpg
)
![[세계와우리] 한·미 산업 재균형도 중요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69.jpg
)
![[기후의 미래] 진화하는 전쟁의 기록](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0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