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 환경이 변화하면서 국내 투자 시장도 여전히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선발된 기업들이 새로운 성공 스토리를 쓸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해 지원하겠습니다.”
이한섭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대표는 23일 서울 코엑스 스타트업브랜치에서 열린 ‘빅웨이브’ 하반기 투자유치 사업계획(IR) 발표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빅웨이브는 ‘Big wave for Incheon Investment Gate’의 약자로, 인천광역시와 인천센터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공동 조성한 ‘인천빅웨이브모펀드’ 기반 스타트업 투자 유치 지원 플랫폼이다.
이 자리에선 올해 하반기 KT, 대한항공, 카카오모빌리티, 한솔PNS 등 대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기술력과 사업성을 검증받은 스타트업들이 소개됐다. 실질적 성과를 내고 있는 스타트업을 투자자에게 소개해 후속 투자로 이어질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다.
하반기 지원 대상에 선정된 기업은 △어플레이즈(공간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솔루션) △에이아이포펫(AI 활용한 반려동물 실시간 건강 체크) △증강지능(항공 매뉴얼의 AI 기반 디지털 혁신) △디비디랩(혁신적 리서치 솔루션) △인텔리즈(생산라인 결함 검사하는 머신 비전) 등 5개 기업이다.
선정 기업들은 각 사만의 핵심 콘텐츠와 사업 모델을 공개하며 향후 ‘유니콘’ 기업으로의 성장성을 소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벤처캐피털(VC)과 액셀러레이터(AC) 등 전문 투자회사와 오픈 이노베이션 등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찾는 대기업,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리서치 운영 플랫폼 ‘유저스푼’을 선보인 강지수 디비디랩 대표는 “현재 기업이 에이전시 등에 의뢰하게 되면 응답받아 다시 전달하는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기업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AI 패널을 구축하도록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에서 콘텐츠·서비스 플랫폼으로 분사한 스핀오프 기업 어플레이즈의 배정진 대표는 “매장·건물·차량 등 다양한 오프라인 공간에서 시간·날씨·고객 특성까지 고려해 AI가 자동으로 음악을 추천·송출하는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며 “저작권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수익성을 다변화해갈 것”이라고 했다.
올해로 5년 차를 맞은 빅웨이브는 선발된 기업들이 투자 유치를 통해 다음 단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 특히 최근 수년간 투자 열기가 얼어붙은 가운데, 빅웨이브는 선발 단계에서부터 투자자와 협력하고 이후 글로벌 시장과 연계를 강화하는 등 지원 대상 스타트업들이 실질적인 투자 유치 성과를 얻는데 주력하고 있다. 지난 4년간 94개사를 발굴해 약 1500억원의 투자 유치를 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이집트 대박물관 개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07.jpg
)
![[특파원리포트] 경주에서 나온 복원의 첫 장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11.jpg
)
![[박영준칼럼] 美 위기 징후와 동맹전략의 과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79.jpg
)
![[심호섭의전쟁이야기] 저격능선·삼각고지 전투서 홀로 빛난 국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92.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