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범죄 사건이 국민의 해외여행 인식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30 청년층은 “이제 동남아 여행이 예전 같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며 불안감을 드러냈다.
23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제보팀장 의뢰로 지난 21일 전국 18세 이상 5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2.4%가 “캄보디아 범죄 사태가 동남아 여행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18~29세 청년층은 이 비율이 88.3%에 달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정부 대응 평가, “협력 수사 집중해야” 1위…“군사작전도 필요” 의견 4명 중 1명
정부가 자국민 대상 범죄에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현지 정부와 협력 및 공조 수사에 집중해야 한다’는 응답이 34.7%로 가장 많았다.
‘외교 채널을 통한 강력 항의 및 재발 방지 협약 추진’(27.5%), ‘군사작전 등 강력한 조치 필요’(25.2%)가 뒤를 이었다.
외교부의 초기 대응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56.0%)이 “잘못했다”고 평가했으며, “잘했다”는 응답은 35.9%에 그쳤다.
◆“이전 정부 캄보디아 지원사업, 비위 가능성 공감” 57.0%
이전 정부에서 추진한 캄보디아 지원사업에 ‘졸속 행정이나 이권 개입 등의 비위 행위가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선 응답자의 57.0%가 “공감한다”고 답했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35.9%였다.
◆한-캄 협력 관계, “유지하되 관리 강화” 52.9%
앞으로의 한국-캄보디아 관계에 대해선 ‘협력은 유지하되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52.9%로 가장 많았다.
‘협력 관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33.0%로 나타나 신중론과 단절론이 엇갈렸다.
◆2030 해외취업 사기, “국내 양질 일자리 부족” 38.4%
이번 사태로 드러난 2030 해외취업 사기 취약 요인으로는 ‘국내 양질의 일자리 부족’(38.4%)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이어 ‘임금·근로환경 불균형’(18.7%), ‘청년고용 정책 부재’(15.7%), ‘정보 부족’(15.0%)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4.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납치·감금 신고 550건 중 약 100건은 여전히 미해결 상태다. 현지 대사관의 대응 부실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전날 여야는 “정부의 안일한 태도가 피해를 키웠다”고 질타했다.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는 2021년 4건에서 올해 8월 330건으로 폭증하며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