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 대통령 “국민의 안녕 위한 것” 강조
남미 브라질 서쪽에 있는 페루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Z세대’(19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반생)가 이끄는 반정부 집회가 대통령 탄핵 후에도 잦아들지 않으면서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AFP통신에 따르면 호세 헤리 페루 임시 대통령은 이날 연설을 통해 “(수도) 리마와 인근 카야오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범죄와의 싸움 중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로써 정부는 수백만 국민의 평화와 안녕, 신뢰를 되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상사태는 22일 0시부터 30일간 지속된다. 이 기간 집회와 이동의 자유가 제한된다. 경찰의 범죄 단속을 지원하기 위해 군인들이 거리에 배치되고, 영장 없는 가택 수색도 가능해진다.
헤리 대통령은 지난 10일 디나 볼루아르테 전 대통령이 탄핵당한 뒤에도 전국적인 반정부 집회가 가라앉지 않자 이 같은 조치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
페루는 올해 들어서만 최소 47명의 버스 운전사가 금품 갈취와 관련된 공격으로 사망하는 등 강력 범죄가 급증해 극심한 치안 불안을 겪고 있다. 이에 Z세대 청년들을 중심으로 교사, 예술가, 의사, 상인 등 일반 시민들까지 거리로 나와 정부를 거세게 비판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위대와 경찰의 물리적 충돌도 빚어졌다. 지난 15일에는 양측이 대치하는 과정에서 유명 래퍼인 30대 시위자가 경찰의 총격에 숨지고 100여명 이상이 다치면서 시위대의 분노는 더욱 커졌다. 헤리 대통령은 내년 4월 예정된 대선까지 치안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약속했지만, 시위대의 구심점인 청년들은 정치권의 부정부패와 무능한 기득권층이 페루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라며 개혁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한편 페루에서는 정치권 부패와 정치 세력 간 알력 다툼이 심해지면서 최근 몇 년 새 탄핵을 통한 대통령 낙마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지난 10일 탄핵당한 볼루아르테 대통령을 포함해 2018년 이후 7년여간 탄핵으로 중도에 하차한 대통령은 7명에 달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中 관광객 운전 허용’ 우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78.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사관 역할 아직 끝나지 않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38.jpg
)
![[세계와우리] 한·미 산업 재균형도 중요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69.jpg
)
![[기후의 미래] 진화하는 전쟁의 기록](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0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