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밭솥 내솥에 쌀을 씻는 행동을 당장 멈춰야 한다는 전문가 경고가 나왔다. 내솥에서 직접 쌀을 씻으면 코팅이 벗겨지면서 알루미늄이 탈락돼 밥과 함께 금속 성분을 섭취할 수 있기 때문인데, 심할 경우 신장 기능 손상은 물론 치매 위험까지 높아질 수 있다.
강상욱 상명대 화학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최근 유튜브 채널 ‘의사친’에서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내솥은 코팅이 벗겨질 경우 알루미늄이 노출돼 밥을 지을 때 미세한 알루미늄 조각이 용출돼 밥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알루미늄은 정상적인 신장 기능을 가진 사람의 경우 대부분 체외로 배출되지만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에서 돌다가 서서히 축적되게 된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뇌에 축적될 경우에는 치매와도 연관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정부에서도 알루미늄 섭취를 막기 위해 알루미늄 용기에 산도 높은 음식을 보관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기밥솥 내솥은 밥알이 달라붙지 않도록 불소수지(테플론) 등으로 코팅되어 있는 제품이 많다. 내솥에서 쌀을 씻을 경우 쌀알이 표면을 긁어 코팅이 손상되기 쉬운데, 이 과정에서 노출된 금속 성분이 고온의 밥 짓기 환경 속에서 음식으로 스며들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아울러 스테인리스 소재의 내솥 역시 안전하지 않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스테인리스 제품이라고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 코팅이 벗겨질 경우 니켈이나 크롬 등 금속 성분이 노출될 수 있다”며 “내솥에서 직접 쌀을 씻는 행위가 코팅 손상을 가속화하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스테인리스 내솥에 붉은색이 나타나면 이미 부식이 진행된 상태이므로, 세척 후 완전히 건조하고 붉은 자국이 보일 경우 즉시 교체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끝으로 그는 “전기밥솥 내솥은 3~4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쌀은 반드시 별도의 그릇에서 씻어 옮기고 금속 주걱이나 철 수세미 사용은 피해야 한다. 세척 후에는 완전히 건조해 보관해야 부식을 막을 수 있다”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中 관광객 운전 허용’ 우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78.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사관 역할 아직 끝나지 않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38.jpg
)
![[세계와우리] 한·미 산업 재균형도 중요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69.jpg
)
![[기후의 미래] 진화하는 전쟁의 기록](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0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