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21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인 한강버스가 정식 운항을 시작한 지 열흘 만에 잇따른 고장으로 운항이 중단된 데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졸속으로 추진된 한강버스의 민낯이 국감에서 드러나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어 “어제 국토위 국정감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버스 중단이 예견된 것임이 확인됐다”며 “한강버스 투입 자금의 약 69%는 서울시가 조달하고 민간 투자 금액은 2.8%에 불과한 비정상적 구조로 특혜 의혹도 불거져있다”고 강조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오세훈 시장은 2007년 시행된 한강 수상택시로 매년 5억~7억원의 적자를 내며 혈세를 낭비했다”면서 “이번 한강버스도 ‘제2의 수상택시’와 같이 치적용 정치쇼의 전철을 밟으며 혈세버스로 전락하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계속해서 “민주당은 서울시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한강버스의 의혹을 진상규명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오 시장은 지난달 2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대책 관련 브리핑 도중 한강버스 운항 중단에 “시민 여러분께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열흘 운항에서 기계·전기적 결함이 발생해 시민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생겼다며, 충분한 안정화가 바람직하다고 결정했다는 중단 배경도 설명했다.
지난 20일 국감에서도 오 시장은 안전사항을 제대로 챙기지 않고 정식 운항을 결정했다는 민주당 천준호 의원의 지적에 “총체적으로 안전상 문제없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답했다.
지난달 18일 정식 운항에 들어간 친환경 선박 한강버스는 나흘 만에 잠실행 한강버스의 방향타가 고장났고, 마곡행도 전기 계통 문제가 생겨 결항한 바 있다. 시는 이달말까지 시민을 태우지 않고 성능 고도화와 안정화를 위한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한강버스의 성능을 점검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