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러니 집을 어떻게 사”… 규제 전 마지막 불꽃, 서울 집값 또 뛰었다

입력 : 2025-10-16 14:35:59 수정 : 2025-10-16 14:35:59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 0.54%↑, 수도권 0.25%↑… 성동·광진·마포·용산 ‘1%대 급등’
지방은 보합… 전세시장도 수도권 중심 상승세 이어져
추석 연휴 이후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1%대 상승하며 규제 전 마지막 불꽃을 지폈다. 뉴스1

 

정부가 서울 전역을 다시 규제지역으로 묶기 직전, 아파트값이 ‘마지막 급등’을 기록했다. 추석 연휴 전후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2주 만에 0.54% 뛰었다. 한강벨트로 불리는 성동·광진·마포 등 도심 인기 지역과 재건축 단지가 밀집한 송파구가 나란히 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서울발 상승세가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됐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5년 10월 2주(13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9월 5주 대비 2주간 누계로 0.13% 상승했다.

 

수도권이 0.25%, 서울이 0.54% 오르며 상승 폭을 키운 반면, 지방은 0.00%로 보합을 유지했다

 

서울은 재건축 기대감과 정주여건이 좋은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며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강북 14개구 가운데 성동구(1.63%), 광진구(1.49%), 마포구(1.29%), 용산구(0.80%) 등이 오름세를 주도했다.

 

행당·하왕십리, 광장·자양, 공덕·성산, 이촌·문배동 등 역세권 대단지들이 중심이었다.

 

강남권에서도 상승세는 이어졌다.

 

송파구(1.09%), 양천구(1.08%), 강동구(0.85%), 영등포구(0.63%) 등이 오르며 ‘동남권-서남권 동반 상승’ 흐름을 보였다.

 

가락·문정, 목·신정, 고덕·명일, 신길·영등포동 일대 재건축 및 중소형 단지의 매수세가 활발했다.

 

경기도에서는 성남 분당구(1.53%), 과천시(1.16%), 광명시(0.62%)가 상승 폭이 컸다.

 

분당동·정자동 등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졌으며, 과천·광명도 입지 우수 단지 위주로 매수세가 붙었다.

 

반면 이천(-0.12%), 여주(-0.12%) 등 비수도권 지역은 하락했다.

 

지방은 울산(0.13%), 세종(0.07%), 전북(0.07%) 등이 상승했고, 대구(-0.07%), 제주(-0.06%), 전남(-0.05%)은 하락했다.

 

세종은 새롬·도담동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며 상승 전환했다.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게시된 매물 정보. 뉴시스

 

전세시장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이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2주간 0.07% 상승, 서울(0.17%)·경기(0.09%)·인천(0.04%)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다.

 

서울은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이 줄며 전세가격이 올랐고, 송파구(0.46%), 서초구(0.32%), 강동구(0.28%), 양천구(0.17%)가 눈에 띄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추석 연휴 이후 매수 심리가 다시 살아나며 서울 주요 지역 중심의 상승세가 강화됐다”며 “특히 재건축 추진 단지나 역세권 대단지의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송혜교, 눈부신 미모에 깜짝
  • 송혜교, 눈부신 미모에 깜짝
  • 송해나 '심쿵'
  • 투어스 신유 '부드러운 미소'
  • '컴백 D-1' 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