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무역협상 타결기대에 현대차·기아도 7% 안팎 급등
16일 사상 처음으로 3천700선을 뚫어낸 코스피가 잠시 숨을 고르면서 방향성을 탐색하는 모양새다.

이날 오전 11시 15분 현재 코스피는 전장보다 63.51포인트(1.74%) 오른 3,720.79를 나타내고 있다.
지수는 18.54포인트(0.51%) 오른 3,675.82로 개장해 전날 기록한 장중 사상 최고치(3,659.91)를 하루 만에 갈아치웠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 오전 10시 2분께 한때 3,726.42까지 올랐다가 현재는 3,710대를 중심으로 등락을 이어가며 횡보 중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3천663억원과 3천218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다. 기관 중에선 연기금 등이 1천182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홀로 6천609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을 실현하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 시장에서도 2천16억원 매수 우위를 기록 중이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465억원과 1천840억원 매도 우위다.
간밤 뉴욕 증시는 급등락하다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0.04% 내린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0.40%, 0.66% 올랐다.
모건스탠리 등 주요 은행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고, 인공지능(AI)과 원전주 등이 강세를 보였으나, 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면서 하방압력으로 작용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언론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높은 주가를 좋아하지만 증시가 하락한다고 협상하진 않을 것"이라고 발언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선 '타코(TACO·트럼프는 항상 겁먹고 물러선다) 트레이드'로 불리는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여전히 강한 분위기다.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 정부가 연일 강한 발언을 쏟아내고 있지만,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주도권을 잡으려는 신경전에 불과하다고 보는 이들이 많아서다.
그간 난항을 겪어 온 한미 관세협상이 조만간 타결될 것이란 기대감도 코스피 상승 동력 중 하나로 꼽힌다.
베선트 장관은 간밤 워싱턴DC 재무부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 약속과 관련한 이견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연합뉴스 특파원의 질문에 "난 이견들이 해소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면서 "우리는 현재 대화하고 있으며, 난 향후 10일 내로 무엇인가를 예상한다"고 답했다.
이날 한미 관세협상 후속논의를 위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함께 출국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협상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분위기에 힘입어 현대차[005380]는 현재 전장보다 7.16% 오른 23만9천500원에 거래되고 있고, 기아[000270]도 6.55%의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장초반부터 역대 최고가(9만6천800원·2021년 1월 11일)를 경신하는 모습을 보인 삼성전자[005930]는 2.47% 오른 9만7천350원에 매매되고 있다.
SK하이닉스[000660]도 장중 한 때 44만4천500원까지 상승, 기존 장중 최고점(43만9천250원·2025년 10월 10일)을 다시 썼다.
여타 시가총액 상위주도 대체로 상승하고 있다.
삼성물산[028260](5.10%), LG에너지솔루션[373220](3.88%), NAVER[035420](1.93%), 셀트리온[068270](1.69%), 신한지주[055550](1.69%) 등이 올랐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1.36%), KB금융[105560](-0.86%) 등이 약세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3.14%), 유통(2.66%), 운송·창고(2.61%), 증권(2.39%), 제조(2.19%), 화학(2.16%), 운송장비·부품(2.09%) 등이 상승했고, 금속(-2.28%), 오락·문화(-0.52%), 의료·정밀기기(-0.33%), 부동산(-0.29%) 등이 하락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02포인트(0.00%) 내린 864.70을 보이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2.10포인트(0.24%) 오른 866.82로 개장한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 하락 반전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1천715억원과 728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2천579억원을 순매수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주는 등락이 엇갈렸다.
에코프로비엠[247540](11.10%), 에코프로[086520](9.58%), 파마리서치[214450](3.83%), 삼천당제약[000250](3.31%), HLB[028300](2.72%) 등이 오르고 리가켐바이오[141080](-6.32%), 에이비엘바이오[298380](-4.55%), 코오롱티슈진[950160](-3.39%), 펩트론[087010](-3.28%), 알테오젠[196170](-3.03%) 등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