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C 방송 대담서 현황 밝혀
대미투자 이견엔 “디테일 해결 중”
위성락도 “이번 방미, 긍정적 진전 노력 시사”
김용범 “美서 새로운 대안 보내와”
구윤철 부총리도 베선트 설득나서
APEC 전 막판 조율 총력전 예고
교착 상태에 빠진 한미 관세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는 15일(현지시간) 한국과의 관세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이르렀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대통령실은 김용범 정책실장이 16일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도 김 실장과 함께 워싱턴을 방문한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하는 것은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관세협상 논의를 마무리 짓기 위해 속도를 내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은 방미 일정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등 미 당국자들을 만나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방안,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의 방미를 앞두고 미국 정부는 한국과의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고 발표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CNBC 방송 대담에서 현재 어떤 무역 협상에 가장 집중하고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내 생각에 우리는 한국과 마무리 지으려는 참이다”라고 답했다. 베선트 장관은 한국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양국 간 이견이 있지 않냐는 질문에는 “악마는 디테일에 있지만 우리는 디테일을 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날 유튜브 방송에 출연, 관세협상과 관련해 “정상 간 합의한 관세협상이 마무리되도록 실무 협상을 잘 이어가고 있다”면서 “에이펙 기간이 목표다. 데드라인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지만, 두 정상이 만나는 계기가 그렇게 자주 오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에이펙이 실질적으로 큰 목표”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최근 2주 사이에 미국이 우리가 보낸 수정 대안에 대해 상당히 의미 있는 반응을 보였고, 그래서 미국 쪽에서 새로운 대안이 왔다”면서 “이번 주에 우리 협상단이 간다. 가서 실질적으로 대화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김 실장과 김 장관의 방미와 관련해 “최근 김 장관이 (미국에) 다녀왔을 때 약간의 협의가 이뤄졌다”며 “이번 계기에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뤄보고자 하는 노력”이라고 밝혔다.
앞서 대통령실은 지난 13일 관세협상과 관련해 “우리 측의 수정안에 대해 일정 부분 미국 측의 반응이 있었다”며 긍정적 진전이 있다는 취지로 알린 바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 역시 같은 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미국 측에서 새로운 대안을 들고나와 검토하는 단계”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한·미는 지난 7월 30일 타결한 관세협상에서 미국이 예고한 대(對)한국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고, 한국이 총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시행하는 등의 내용에 합의했지만 이행 방안을 놓고는 큰 이견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3500억달러 규모 투자 패키지 자금을 ‘직접 투자’ 방식으로 운용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관련해 “3500억달러가 일시에 당연히 나갈 수는 없다. 합당한 사업이 있어야 한다”면서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납득 가능하게 설명했고, 우리 국민들이 이해 가능한 조건이어야 할 텐데 어떤 내용이 반드시 들어가야 되는지도 설명했다”고 말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방미길에 올랐다. 구 장관은 워싱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하면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에게) 한국의 상황을 잘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G20이나 IMF 등의 국제회의에선 참석국 간 양자회담이 자연스럽게 마련되는 만큼, 회의장 안팎에서 접촉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다.
구 부총리는 G20 장관회의 및 IMF·WB 연차총회뿐만 아니라 주요7개국(G7) 의장국 캐나다의 초청으로 인공지능(AI)과 금융범죄·사기를 주제로 열리는 G7 고위급 대화에도 참석한다. 그밖에 국제신용평가사 피치(Fitch)의 제임스 롱스돈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유로클리어그룹 발레리 위흐뱅 대표(CEO) 등과도 면담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