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콩 생산량이 늘었는데도 소비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원인은 정부 정책 부재에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전북 군산시·김제시·부안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2025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1만t이던 국산 콩 생산량은 지난해 15만5000t으로 1.4배 증가했다. 하지만, 그 소비 비중은 2023년 34.3%에서 지난해 30.5%로 3.8%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택 의원은 “정부가 ‘콩 소비기반 구축사업’ 등 일부 인식 개선 사업만 추진했을 뿐, 원료 구매와 제품 개발, 시제품 생산 등 실질적인 소비 확대 지원은 지난해 들어서야 시작됐다”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역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국산 콩 소비 확대 관련 사업을 추진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2022년부터 2023년까지 농식품부와 aT가 수입산 콩 판매 과정에서 총 242억7000만원의 손실을 내고 국내 시장가격까지 떨어뜨려 국산 콩 경쟁력을 약화시켰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당시 aT가 수입·비축한 콩의 판매 원가는 1㎏당 1336원(2022년), 1475원(2023년)이였으나 실제 판매가격은 각각 1140원과 1400원 수준으로 저가 책정됐다.
논콩은 벼 적정 생산을 위한 전략 작물의 핵심 품목이다. 정부의 재배면적 조정 실적에서도 8만㏊ 중 1만4000㏊를 차지하며 전체의 30.5%를 기여했다. 지난해 전체 논콩 재배면적 2만4300㏊ 중 9800㏊는 이모작 형태로 재배돼 농가 소득 향상에도 기여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수립한 ‘2026년 전략 작물 계획 면적’에 따르면 논콩 재배면적은 올해 2만8000㏊에서 내년에는 2만㏊로 줄어든다. 정부는 수매 물량 부담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이 의원은 “정부 약속을 믿고 생산량을 늘린 농가에 피해를 전가하는 조치”라고 비판했다.
특히 전북 지역은 지난해 기준 콩 재배면적을 2만㏊까지 확대하며 정부 정책에 적극 협조한 만큼, 면적 축소 시 지역 농가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원택 의원은 “국산 콩 수매가 부진한 이유는 전적으로 정부의 소비 정책 부재 때문”이라며 “생산 면적과 수매 물량 축소는 정책 실패 책임을 농가에 떠넘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정책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년 수준의 생산 면적을 유지하고, 약속대로 수매 물량 전량을 매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