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 한복판 지하에 ‘핵 대피소’ 만든다”…무슨 일이?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10-14 06:15:07 수정 : 2025-10-14 06:44:34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도시 안보 인프라의 새 모델… 2028년 완공 목표

서울시가 송파구 가락동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들어서는 공공주택 단지 지하에 ‘핵·화생방(화학·생물·방사능) 대응 민방위 대피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방자치단체가 독자적으로 핵 방호 기능을 갖춘 대피시설을 건설하는 것은 이번이 국내 최초 사례가 될 전망이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는 송파 창의혁신 공공주택단지의 지하 3층에 핵·화생방 대피시설을 조성하는 설계용역을 진행 중이다. 2028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약 34억원이 투입된다.

 

◆“일상 속 피난처”…평상시엔 체육시설, 유사시엔 방호 거점

 

대피시설은 연면적 2147㎡(약 650평) 규모로, 평소에는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체육·운동 공간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비상시에는 1020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핵·화생방 대응 대피소로 전환된다.

 

시설 내부에는 오염된 외부 공기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청정 구역, 제독 구역, 청정 기계실이 단계적으로 구성된다.

 

비상 급수와 위생 설비, 공기 정화 장치 등이 설치돼 최대 14일간 자급자족이 가능한 생존 환경이 갖춰진다.

 

서울시는 향후 전자기펄스(EMP) 공격 대응 기능도 추가해, 현대전 양상에 부합하는 방호체계로 고도화할 방침이다.

 

◆“디펜스 서울 2030” 첫 실현 모델

 

이번 사업은 서울시가 지난해 3월 발표한 ‘디펜스 서울 2030’ 종합계획의 첫 실질적 성과다.

 

이 계획은 서울광장 지하, 지하철 역사, 공공시설 등을 중심으로 ‘도심형 생존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충하는 전략을 담고 있다.

 

시는 송파 시설을 시범 모델로 삼아, 향후 서울 전역으로 고기능 민방위 대피시설을 확대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특히 1970~80년대 조성된 기존 민방위 대피시설의 방호 수준이 노후화돼 실질적 생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판단 아래, 시설 재평가 및 성능 개선 사업도 병행할 계획이다.

 

◆국제 정세 불안 속 ‘도시 안보’ 강화 움직임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으로 핵 및 화생방 위협에 대한 세계 각국의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핀란드,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들은 주요 도시 전역에 수십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 대피소를 갖추고 있으며, 일본과 대만도 핵 방호형 피난시설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 지하철 3·5호선 오금역 일대 옛 성동구치소 부지 개발 지역. 송파구 제공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전시뿐 아니라 대규모 재난·테러 등 복합위기 대응력을 높이는 도시 안보 인프라 강화 전략”으로 보고 있다.

 

한 전문가는 “민방위 시설은 더 이상 ‘비상시 피신 공간’이 아니라, 도시 생존을 위한 필수 기반시설로 전환돼야 한다”며 “이번 송파 사례를 시작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서울시의 시도를 “지자체 주도의 실질적 민방위 체계 전환”으로 평가한다.

 

대피시설은 단순한 피난처를 넘어 도심의 회복 탄력성(resilience)을 높이는 핵심 인프라다. 생활 공간과 방호 시설이 결합된 모델은 앞으로 전국 확산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상큼 발랄'
  • 정소민 '상큼 발랄'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